지역 산업계가 수년내 '물과의 전쟁'에 봉착될 전망이다.

국지적 집중호우는 내리지만 정작 '쓸만한' 비는 부족하기 때문이다.

울산지역은 도시화의 영향으로 내린 비마저 수리시설 등에 저장되지 않고 곧바로 하천으로 유입돼 물부족 문제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지방정부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가뜩이나 모자라는 용지를 어렵게 조성하고, 기업들이 산업생산 설비를 갖추더라도 결국에는 용수부족이라는 '복병'에 산업계가 위협당하는 양상이 현실화된다는 것.

울산지역의 올해 강우량의 경우 4월 하순 이전까지는 예년과 비슷했으나 영농기 이후 8월1일까지의 강우량은 예년의 70% 수준에 그치고 있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물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 따르면 2011년에 이르면 울산은 포항 등과 함께 전국에서도 용수가 가장 부족한 지역에 포함, 용수부족율이 30굠40%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이같이 울산지역의 물부족현상은 논농사 뿐만 아니라 공업용수 부족현상으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은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농업기반공사 울산지사는 "울산지역은 공단지역이 많아 공업용수도 상당량이 필요하지만 수리시설이 부족해 새로 들어서는 매곡 신산업단지의 경우 공업용수가 상당히 부족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공업용수 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의 부족은 더욱 심각한 상태다.

그러나 정부가 '중규모용수개발사업' 규모를 크게 줄이면서 울산지역에 필요한 중규모용수개발 사업도 추진이 불투명하거나 지지부진한 상태다.

울주군 언양읍 다개와 평리 일원의 경우 기존 100여㏊의 논에 물을 댈 수 있도록 만들어진 '다개저수지'가 있지만 그동안 밭에서 논으로 전환하는 등 50여㏊에 이르는 논면적이 늘어났다.

그러나 '다개저수지'만으로 주변 141.5㏊에 이르는 논까지 용수를 공급하면서 며칠만 가물어도 농업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농업기반공사 울산지사는 갈전지구에 73㏊에 이르는 중규모용수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실시설계에 착수했지만 내년도에 사업지구로 지정돼야 실제적인 저수지 개발이 가능하다.

울주군 상북면 산전리 일원인 산전지구 역시 소류지 1곳와 하천수 등으로 급수하고 있으나 수리 시설이 노후화되고 시설용량이 턱없이 부족해 가뭄피해가 크다.

하지만 이 지구 역시 지난 2003년 예정지 답사보고를 마치고 정부에 기본계획 수립지구 지정을 요구해 놓고 있지만 지정여부가 불투명해 사업이 계속 연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 내년 본격적인 공사를 앞두고 있는 명촌지구 중규모용수개발 사업의 경우 사업비 68억여원 중 80%에 이르는 53억원을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예산이 제때 책정되지 않을 경우 사업추진이 더딜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농업기반공사 울산지사 관계자는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통한 농업생산성 증대와 집중호우시 홍수조절을 통한 재해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중규모용수개발사업은 꼭 필요하다"며 "또 중규모용수를 개발함으로써 확보한 생업용수나 공업용수 등 수자원이 지역경제 발전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샛별기자 star@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