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미국의 한 장애인이 하버드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미국 전역으로 강연을 다닐 수 있는 명사가 됐다는 감동적인 이야기를 읽었다. 그 여성장애인은 고등학교 때 교통사고로 척추손상을 입었고 휠체어에 각종 생명보조장치(산소공급보조기 등)를 달고 있어야 하며 1~2시간 마다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경련이 일어나는 상태여서 학업과정 동안 어머니와 함께 강의실에 출석해야 했다. 그런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무사히 대학까지 졸업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다닌 고등·대학교가 건물 개보수, 보조교사 등을 지원했고, 지역사회에서도 그 가족에 대해 기금을 마련해주고, 자원봉사도 해주었기 때문이었다.

우리사회도 장애인과 관련된 사회적 서비스와 각종 정책들은 1980년대 중반이후로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물론 극적이라는 말은 지극히 비장애인의 입장에서 하는 말이다. 장애인의 입장에서 보면 아직도 우리 사회의 현실은 암담함의 연속이다.

사회복지제도의 전반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에 대한 정책과 서비스는 우리나라의 화려한 외면적인 성공에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제까지 사회의 모든 자원들을 경제성장에 투입한 것은 사실이고 그 과정에서 능력 있는 자본가와 엘리트들은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었다. 그리고 평범한 국민들 대부분도 국가발전의 혜택을 통해 선진화된 수준의 삶을 누리고 있다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시장경제에서 자본이나 자신의 노동력을 통해 적극 경쟁할 수 없는 사회적 약자들은 국가발전의 기간동안 사회제도의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노동을 통해 높은 소득을 올릴 수도 없었고, 의료적 문제가 있어도 제때 치료받기 어려웠고, 심지어 조그마한 몸뚱이 하나 누울 수 있는 잠자리를 못구해 쩔쩔매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장애인을 둘러싼 각종 제도와 환경은 사회구성원의 합의와 관심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사회는 아직도 장애인의 어려움은 개인의 책임이라고 보는 관점이 지배적이다.

아기가 장애인으로 출생하게 되면 우선 부모가 각종 어려움을 경험한다. 그중에서도 장애아 어머니의 고통은 극심하다. 그래서 장애를 가진 아동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비난으로 부모를 힘들게 할 뿐아니라 사적 교육 혹은 조기치료 등으로 재정적인 어려움까지 가중시키는 존재가 되고 만다. 더구나 울산에는 장애에 대한 진단, 치료, 재활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들이 거의 없어 전국을 전전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불편과 비용 부담이 여간 아니다.

누구에게나 마찬가지지만 교육은 자립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장애인에게 교육은 더욱 절실하지만 우리의 교육현장은 여전히 장벽이 높다. 새로 짓는 학교건물은 어떠한지, 시각·청각·정신지체·정서·언어 등의 부문별 장애아동을 위한 종합적인 교육계획이 울산교육청에는 마련되어 있는지, 이를 위한 교육관련 주체들의 집합적인 노력이 얼마만큼 인지 다시금 점검할 필요가 있다.

장애는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이다. 그 때 앞서 미국의 한 여성장애인처럼 당당하게 대학도 가고 각종 지원도 받을 수 있는 사회에서 살고 싶은 것이 소시민의 조그만 꿈이다. 이러한 사회를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의 관심과 노력에서 시작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