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류 침수지역 주민들의 고통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주택과 건물,도로 등이 완전히 물에 잠긴 지역의 주민들은 물이 쉽게 빠지지 않아 복구작업은 엄두도 내지 못한채 난민아닌 난민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물속에 갇혀 고무보트로 최소한의 식료품만 공급을 받고 있는 형편으로 생필품의 지원조차 원활하지 못해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또한 피부병까지 번지고 있어 이재민들의 고통은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하고있다.

 열흘이 넘게 계속된 많은 양의 비로 인한, 불가항력의 천재로 생각하고 하늘만 원망하고 있었던 이재민들은 침수가 장기화되자 관계당국의 무대책과 늑장 대응에 분통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천재라 하더라도 평소 수방대책을 완벽하게 갖추고 둑과 절개지 공사를 제대로 했더라면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며 마구잡이식의 난개발로 피해가 커졌다는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어느것 하나 틀림이 없는 지적이다. 특히 낙동강 하류지방은 비가 많이 내릴 경우 항상 홍수와 범람이 우려되기 때문에 이지역 자치단체를 포함한 관계당국은 평상시에도 침수피해에 대비한 응급책을 마련해 놓고 유사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함이 마땅하다.

 재해시 주민들의 피해를 최대한 줄이고 피해 주민들의 보호와 생활의 불편을 해소토록 하는 것은 지자체의 중요한 역할이자 의무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해당 지자체들은 개발에만 신경을 썼지 재해에 대해서는 거의 무방비 상태였으며 구호대책도 허술하기 짝이 없었음을 여실히 드러내 보여줬다. 일부지역 주민들은 면사무소로 몰려가 공무원들의 무능을 질타했다.

 경남도는 16일에야 긴급 시장.군수회의를 열고 범도민 수해복구 체제로 행정을 전환키로 하는 한편 중앙 재해대책본부와 함께 합동조사반을 구성, 원인조사와 실사작업에 들어갔다고 하니 지금까지는 도대체 무얼하고 있었는지 알수가 없는 노릇이다. 수재민만 5천명이 넘는 대형 재해의 복구작업이 지자체 단독으로는 힘든 일이다. 중앙정부도 지자체에만 모든것을 미룬채 마냥 쳐다 보고만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정부차원의 인력과 장비는 물론 예산을 지원, 실의에 빠진 주민들이 한시바삐 생의터전을 되찾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