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에서는 고려 말부터 제주도와 남방각도에 목장을 설치했다. 태종 14년(1414)에 명나라에서 진상마(進上馬) 3천필을 요구하여 이에 응했고, 세종 3년(1421)에도 1만필을 요구받았다. 엄청난 수량이라 협상 결과 매년 50필의 세공마(歲貢馬)로 조정했다. 임진왜란 당시 전국에 138개소의 국립목장이 있었고, 방어진 목장에는 300필 내외를 사육하였다.

 울산 감목관은 초기에 남목이라 불린 방어진 목장, 북목(北牧)이라 불린 장기목장 등 두 목장을 관리했다. 방어진 목장은 나중에 울산목장이라 고쳐 불렀고, 효종 5년(1654)에 전임관이 배치되어 고종 31년(1894) 목장이 폐지될 때까지 감목관이 있었다. 예종 1년(1492)에는 적진리(赤津里)라 하다가 정조 때 남옥(南玉)으로 불렀고, 뒤에 목장이 들어서면서 남목(南牧)으로 변했다. 방어진 일대가 모두 목장이었고 청사(廳舍)가 있었기에 남목으로 고쳐 불렀던 것이다. 울산목장은 말을 방목(放牧)하기 위해 염포반도 중간지점인 염포산 허리에 남북으로 마성(馬城)을 쌓았고 지금도 그 흔적이 있다.

 마성(馬城)은 말을 호랑이나 표범으로부터 보호하고 말의 월경(越境)을 저지하기 위하여 좁은 수로같이 파서 석축이나 목책으로 만든 담장인데, 성곽 같았기에 마성이라 부른다. 마성은 목장의 표계(標界)였다. 울산목장의 마성유적은 구마성(주전에서 성골을 거쳐 염포 양정의 경계선을 따라 심청곡까지), 신마성(미포에서 염포까지), 제3마성(댕바위산 입구) 등 3곳이 현존하고 있다. 방어진 12경(景) 가운데 제3경인 "마성방초(馬城芳草)"는 말의 분뇨로 인해 비옥해진 토양에서 자란 들꽃 동산을 노래한 것이다.

 요즘은 말이 거의 쓸모가 없이 돼버렸지만 100여년 전만해도 가장 유용한 동물이었다. 짐을 운반하거나 역마(驛馬)·파발(擺撥)에 쓰였고 농사에도 사용됐다. 전쟁시는 전마(戰馬)로서 큰 역할을 담당했고, 가죽 털 마근(가슴근)으로부터는 구두 장신구 등 일용품도 얻었다. 말갈기와 꼬리털은 말총이라 하여 갓이나 관모를 만들며, 마분(馬糞)까지도 비료 종이 연료 약으로 쓰였다. 폭군 연산군은 말고기를 가장 즐겨먹었는데, 건강하게 늙은 백마가 양기에 좋다하여 이를 진상토록 했다.

 말 두필이 끄는 전차부대는 당시 중국군의 선봉이었으므로 조공으로 바친 조선말이 다시 우리를 위협하는 무기로 변할 것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진상요구를 거절하지 못한 조선국. 하지만 진상마필 일만을 원했으나 50으로 대폭 줄여버린 배짱과 협상력은 놀랍기만 하다.

 그리고 명나라가 조선에 이처럼 다그치듯 대량의 마필을 요구한 것은 당당한 기마민족으로 요동을 지배하고 만주벌판을 호령하며 말달리던 기마군단이 중원으로 쳐들어올까봐 지레 겁먹었던 건 아닐까. 전 건설교통부차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