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작업시설 - 장애·비장애 인력 함께 생산활동 최저임금 보장
보호작업시설 - 중증장애인 취업 위한 적응훈련…울산에 7곳 소재
작업활동시설 - 장애인에 기초 생활능력 향상 교육프로그램 운영
판매시설 - 장애인 생산품목 판매·유통 대행…판로개척 등도 도와

울산에 있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모두 15곳이다.

최저임금을 보장해줘야 하는 근로작업시설을 비롯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직업재활 과정을 거치게 하는 작업활동시설, 중증장애인에게 직업적응훈련을 실시하는 보호작업시설 등이 있다.

이들 시설은 각 시설 유형마다 고유의 기능과 역할이 따로 있다.

각 단계마다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거쳐 상위 단계의 작업이 가능한 시설로 옮기도록 하는 선순환 과정이 바탕에 깔려 있는 것이다.

울산에는 어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이 있는지 시설의 종류와 기능, 역할 등을 알아본다.

◇장애인근로작업시설

울산에는 삼남장애인근로작업시설(시설장 간은태)이 유일하다.

이 시설은 직업재활시설중 최상위 단계의 작업시설이다. 즉, 직업재활훈련을 거쳐 작업활동, 보호작업시설 등을 거친 근로자들이 비장애 근로자들과 경쟁하며 생산활동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

이 시설에 근무하는 장애인들은 비장애 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최저임금을 보장받는다. 근로자 수도 최소 30명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흔히 비장애인들의 공장과 비슷한 기능과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장애인보호작업시설

울산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중 가장 많은 유형이다. 각 구·군청에서 운영하는 장애인보호작업장을 떠올리면 된다.

장애인보호작업시설은 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에게 취업을 위한 직업적응훈련을 실시하고 그 기간동안 일거리를 제공해 장애인에게 전인격적인 발달과 안정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울산에는 모두 7곳이 있다. 중구에 1곳, 남구와 울주군에 2곳, 동구와 북구에 각 1곳이 있다.

장애인보호작업시설과 근로작업시설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임금에 있다. 근로작업시설이 비장애 근로자처럼 최저임금을 보장해줘야 하는 것과 달리 장애인보호작업시설은 근로장애인의 3분의2 이상 근로자에게 최저임금의 50%이상을 지급해 줘야 한다.

또 최소 10명 이상 근로해야 하며 작업인원의 70%이상이 장애인이어야 한다. 근로 장애인중 재가 장애인이 절반 이상돼야 하는 조건도 갖춰야 한다.

◇장애인작업활동시설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면에서 작업활동시설과 보호작업시설의 역할이 비슷할 것 같지만 작업활동시설이 주로 교육프로그램 중심으로, 보호작업시설은 근로를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보호작업시설이 본격적인 직업적응훈련을 실시한다면 작업활동시설은 최소한의 작업능력이 기대되는 장애인에게 지속적인 기초생활능력과 직업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울산에는 희망울타리, 메아리 보람의 터, 태연농장, 우리집 등 6곳이 운영중이다.

도자기, 봉재기술, 양재, 목공, 수경재배, 종이공예, 채소, 제빵 등의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작업활동시설은 근로작업·보호작업 시설처럼 수익을 내는 근로의 개념을 가르치는 기능이 거의 희박한 시설로 보면 된다.

◇장애인판매시설

이처럼 장애인들의 노동력으로 생산된 품목을 장애인들의 힘으로 판매하는 곳이 장애인판매시설이다.

장애인 생산품의 판매활동과 유통을 대행하거나 판로개척, 홍보, 정보제공, 각종 상담 등을 통해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지원하게 된다.

이 시설은 장애인들이 생산한 품목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공공단체 등에 납품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비장애인들의 상품시장에도 내다 파는 역할을 한다.

울산에는 메아리복지원이 운영하는 곰두리울산공판장이 있다.

곰두리울산공판장은 울산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서 생산된 품목을 포함해 장애인 생산품을 판매하고 있다.

◇장애인직업훈련시설

장애인직업훈련시설은 장애인에게 직업기술을 훈련해 경쟁고용이 이뤄지도록 하는 시설이다.

이 시설은 직업준비훈련을 시작으로 사회적응훈련, 상담지도, 현장훈련 및 지역사회 고용으로 전환하는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주로 교육 프로그램과 훈련 프로그램이 실시된다.

울산에는 직업훈련시설이 없다.

박정남기자 jnp@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