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5월 31일)은 바다의 날이다. 매년 맞이하는 바다의 날은 바다의 환경 미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지만 바다의 명칭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한다. 왜냐 하면 '동해'에 우리나라 영토 독도가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지금 '신학습지도 요령' 해설서에 "독도는 죽도이고 일본 영토"라고 못을 박아놓고 있다. '신학습지도 요령' 해설서는 교사가 가르치는 교재 안이다. 학생들에게 이제는 조선영토 독도가 아니라 일본 영토인 죽도라고 확실히 일깨워주는 교육이다.

이 때를 즈음해 우리는 '동해'라는 명칭으로서는 '일본해'를 이기지 못하니 명칭을 바꿔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사람들끼리도 '동해'로 해야 한다 또는 '조선해'로 해야 한다 하면서 많은 논란을 거듭해왔다.

'동해'는 어디까지나 방위 개념에서 손쉽게 부르고 있는 것이지 정식 명칭으로는 부적절하다. 일본은 방위개념에서 북해, 동해, 남해라는 명칭을 많이 쓰고 있지만 '서해'를 '일본해'라고 고집하고 있다. 왜일까?

그것은 필경 '일본해' 안에 독도 즉 죽도가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번에 발간하는 '신학습지도 요령' 해설서에도 '일본해' 안에 죽도가 있다고 기록돼 있다. 그러니 우리도 방위 개념에서 '동해'라 하지 말고 '조선해'안에 있는 외로운 섬 독도라고 해야 한다.

흔히들 '동해'는 이미 고지도에 붙여진 이름이라 하지만 그렇지 않다. 고지도를 보면 '조선해'로 표기된 것이 22개나 되고 'Sea of Corea'라는 외국어로 표기된 것이 128개나 된다. '동해'로 표기된 것이 '조선해'기록에 비하면 반도 안된다.

또 '동해'가 가장 오래된 명칭이라 하는데 '동해'보다 더 오래된 명칭은 '창해(滄海)'이다. 러·일전쟁시 일본 육군성에서 발간한 '고대반도부근지형도'를 보면 일본인과 조선인들은 '동해'를 '창해'라고 하니 '창해'에서 전쟁의 승리를 다짐하자고 하는 문구가 나온다. 그리고 '창해'는 조선 고유 명칭이라고도 기록하고 있다.

우리는 '동해'를 '조선해'로 호칭하고 IHO(국제수로기구)에서 발간하는 해양과 바다의 경계 '해도집'도 표기해야 한다.

지난 2007년 10월 모나코에서 '해도집' 발간을 놓고 우리 정부 측 일행들이 많은 노력을 했지만 실패하고 돌아왔다. '해도집'은 5년 마다 발간하는데 처음 발간은 1929년이었다. 당시 나라 잃은 설움이 어디에는 없었겠는가마는 '일본해'로 표기되고 말았다. 1953년까지 계속 '일본해'로 표기되어 국제사회에 통용돼 왔다. 그 후 1975년 다시 회합할 때 북한도 참여해 겨우 '동해'와 '일본해'를 병합표기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2007년 10월 다시 모나코에서 국제수로기구 회원들 사이에 '동해'냐 '일본해'냐 싸움이 시작됐다. 우리 정부에서 파견한 정부요원, 민간단체가 부지런히 홍보했지만 성사되지 못했다. 파견한 우리 대표단원들의 노고는 대단했지만 홍보활동이 매우 미약함을 말해주고 있다.

이에 불만을 품고 모나코 회의 때 많은 네티즌들이 반박 글을 보내는 등 야단법석을 떨었다. 너무 안타까운 것은 '동해'를 고집하며 홍보한 것이다. 아침 일찍 일어나 호텔문 앞에서 홍보도 하고 쉬는 시간에는 화장실까지 쫓아가서 'Sea of east'로 표기하도록 선전했다는 것이다. 왜 '동해'로만 홍보했는가. 물론 우리나라 국민이 많이 부르고 있고 또 오래된 호칭이라 하지만 더 오래된 것은 위에서 말한 '창해'이다.

지난 2007년 10월 열린 IHO협의는 소득없이 막을 내렸지만 2009년에 다시 열린다 하니 그 때는 '동해'를 '조선해'로 바꿔야 '일본해'를 이길 수 있다.

오늘도 세계적 고유가로 기름 한 방울이 아쉬운 상황에서 동해 심해저에 많은 사람들이 눈길을 보내고 있다.

김문길 부산외대 교수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