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도시 울산'이 2010년 1인당 GRDP(지역총생산액) 6만달러의 세계 10대 부자도시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경제 중심의 성장이 작금의 화두이니 만큼 당연 정부와 행정당국은 기업의 투자와 일자리 창출, 규제 완화 등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나 경제수준에 맞는 시민의 삶의 질을 생각할 때 환경과 사회복지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된다. 특히 울산은 환경분야에서 시민의 삶의 질이 크게 떨어졌던 과거를 잊어서는 안 된다.

오염된 공기, 숨쉬지 못하는 태화강의 생물, 악취, 회색도시의 이미지는 분명 성장일변도의 경제정책에서 울산이 가진 업보였다. 그러나 광역시 승격과 2002년 한일 월드컵, 2004년 '에코폴리스 울산' 선언을 통해 세계가 괄목할 만한 환경개선을 일구었다. 태화강에서 수영을 하고, 연어가 돌아오고, 수달가족이 발견된 것은 분명 시민과 행정당국, 그리고 지역의 기업들이 함께 한 놀라운 성과였다.

그러나 현재 지구온난화로 전 세계 기온이 100년간 0.74℃ 상승하고 해수면이 매년1.8㎜ 상승 하는 등 우리의 터전은 여전히 위협받고 있다. 특히 한반도의 기후변화 진행속도는 전 세계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며 그 중 울산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1.7℃의 상승을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선진국의 온실가스 규제는 자동차, 조선, 화학 등 울산을 부자도시로 이끈 성장엔진산업에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대두되고 있다.

울산의 최종 에너지 소비량(2004년 말)은 1894만TOE(석유환산톤)로, 전국 소비량의 12.5%를 차지하고 있다. 또 온실가스 배출량은 5790만CO2곘으로 전국 배출량의 10.5%를 점유하고 있다. 2013년부터 우리나라가 의무감축에 들어갈 경우 울산은 온실가스 감축이나 탄소배출권 확보 등에 천문학적인 재정부담이 예고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울산은 지금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고민해야 한다.

우선 명품도시 울산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온실가스 저감사업 발굴과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이뤄야 한다.

울산시는 LED신호등 설치 및 절약형 가로등 교체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또 울산의 자랑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하이브리드자동차 및 연료전지자동차, 더 나아가 이산화탄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부품사들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정부차원에서는 하이브리드자동차 양산에 따른 세제지원 및 자동차세 경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기업역시 지구온난화 및 온실가스 규제에 적극 대응하는 등 친환경 기업 이미지를 높이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얼마 전 연수를 다녀온 핀란드, 스웨덴, 덴마크, 네델란드는 모두가 자전거 보행자를 우선시하고 있었고, 대중교통 또한 발달돼 있었다.

최근 경상일보가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자전거, 이젠 교통수단이다'는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대응하는 좋은 본보기라 할 수 있다. 자전거로 태화강둔치와 십리대밭을 거쳐 출퇴근하는 시민들의 모습은 분명 환경과 건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우리의 미래 모습이다. 북구청이 자전거전용도로를 확충해 근로자의 출퇴근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는 것은 좋은 예라 할 수 있겠다.

이에 울산시에 제안한다. 이번 기회에 기후재단 설립을 추진해 탄소시장 활성화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기후변화대책을 지원하는 '싱크탱크'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얼마 전 폐막된 서울디지털포럼에서 박 철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지구 온난화를 지적하며 기발한 제안을 했다. 지구온난화가 미래에 더 큰 재앙으로 다가올 것이 분명하지만 현실적인 대책수립은 어려운 만큼 지구와 태양 사이에 큰 풍선을 두어 태양열을 식히자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그는 미국 항공우주국도 지구와 금성 사이에 풍선을 두자는 의견을 낸 적이 있다고 소개했다.

울산은 이런 무한한 생각과 대책을 끊임없이 쏟아낼 수 있는 '싱크탱크'를 하루 빨리 구성해야 한다.

지역 환경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울산의 또 다른 환경 혁명을 이끌 것이다.

이방우 울산시의회 의원

※외부 기고는 본보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