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공계 진출 촉진 방안의 하나로 이공계 대학생및 대학원생 장학금 지원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부터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의 우수 신입생과 재학생에게 매년 309억원의 장학금을 준다는 것이다. 이공계 기피추세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자중 자연계 비율이 4년전만 해도 42%가 넘었으나 올해는 27%에 불과했으며 특히 대학원 입시에서는 대부분의 학과가 미달사태를 빚을 정도로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는데 정부의 대책 마련은 늦은 감이 있다.

 이공계 기피는 사회변화의 한 현상으로 선진국들도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과학기술인력이 부족해 산업이 위기를 맞을 정도이니 문제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최근 조사에서 청소년들은 의사.변호사.세무사등 전문직과 연예인 등의 직업을 선호했으며 과학기술인이 되겠다는 청소년은 0.4%에 불과했다. 이같이 이공계를 기피하는 까닭은 이공계 출신이 보수나 승진기회 등에서 인문계에 비해 뒤지고 전직할 때도 직업의 유연성면에서 떨어지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부(富)에 결정적으로 기여해온 것은 자동차.조선.기계 등 전통산업인데 젊은이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으로 인해 이같은 제조업 분야의 경쟁력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것도 걱정이다. 이공계 기피현상은 교육과 연구의 질마저 떨어뜨리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국내 이공계 연구자들이 발표한 과학기술논문의 질적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니 과학한국의 미래가 암담할 뿐이다. 1970년대와 80년대까지만 해도 우리 경제성장의 원동력으로 우대받던 과학기술자가 이렇듯 천덕꾸러기가 된 것은 정부의 인력 관리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탓 아닌가.

 고급 과학기술 인력이 21세기 지식정보화시대에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는 것을 우리 모두 알고 있다. 첨단산업분야에서 핵심 기술을 개발할 연구인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이공계 대학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차원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 근본적인 이공계 살리기 정책을 펴야 한다. 과학자의 기를 살려주고 우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