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경제포럼(WEF)의 환경지속성지수(ESI)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142개국중 최하위권인 136위를 기록했다니 충격적이다. 환경지속성 지수는 환경오염 정도 뿐 아니라 사회와 경제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68개 항목을 선정해 현재 및 미래의 환경도전에 대한 대처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소득수준이 높으면서도 환경지속성 지수는 100점 만점에 35.1점으로 최하위 수준인 나라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됐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지난해 환경지속성 지수가 처음 발표돼 우리나라가 122개국중 95위로 하위권에 속하자 관계당국은 기준 연도가 오래된 것이고 조사방법 등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고 몇몇 국가들도 평가의 신뢰성에 이의를 제기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더욱 순위가 떨어진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이는 환경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일개 정부 부처의 문제가 아니라 범정부차원에서 생각해 볼 문제다.

우리나라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최상위권에 속하고 토양오염.수질오염이 심각하며 시화호.새만금 간척사업 등으로 갯벌이 사라지는 등 생태계가 위협받을 정도로 환경이 날로 오염되고 있다. 그런데도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경제와 주민들의 재산권 보호라는 명분을 내세워 환경을 파괴하는 난개발을 부추기고 있으니 우리 국토는 대체 누가 보호하나.

환경과 「삶의 질」이 더욱 중요시 되는 21세기에 우리나라가 계속 환경후진국으로 남을 수는 없다고 본다.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사는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환경용량이 열악한만큼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환경개선 의지를 가져야만 그나마 환경을 지속할 수 있을텐데 경제개발을 위해 환경파괴를 일삼아 왔다. 세계경제포럼이 매긴 우리나라의 부끄러운 환경 성적표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와함께 국토와 환경은 당대를 사는 우리만의 것이 아니므로 더욱 비옥하게 가꾸지는 못할 망정 훼손시켜 후손에게 물려줄 수는 없다는 환경마인드를 정부는 물론 국민 모두가 갖고 실천에 옮겨 나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