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대한민국도 이미 유니버설디자인에 빠졌다

일본,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한 제품이 연일 쏟아지고 있다. 또 공공디자인에도 유니버설디자인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아직 활성화 단계는 아니지만 우리나라도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경기도 화성시는 지난 10월 전국에서 처음으로 ‘화성시 공공시설물 유니버설 디자인 조례’를 제정했다. 보훈회관을 시작으로 노인복지회관, 여성청소년센터 등 새로 짓는 공공시설에 모두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했다.

경기도 안양시도 사람, 동·식물, 거리, 건물 등 도시 안의 모든 개체간 경계를 없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유니버설디자인을 토대로 한 공공디자인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전북 전주시는 장애인들도 숲길 산책을 즐길 수 있도록 건지산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열린 숲길을 조성키로 했다.

일본은 지자체뿐만 아니라 기업, 시민사회단체 등 다양한 분야 집단들이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단체나 협회를 만들어 탄탄한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그 정도 단계는 아니지만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연구기관이나 시민사회단체들이 하나 둘 생겨나고 있다.

이들은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제품 공모전을 벌이거나 전시회를 여는 등 아직 익숙치 않은 유니버설디자인이라는 개념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함께하는 UD실천연대’는 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 등 여러 단체들이 연합해 만든 조직으로 서울의 청계천 개보수 요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 (사)한국장애인인권포럼에서는 제품디자인과 환경 및 실내디자인, 시각디자인, 영상디자인 등 분야로 나눠 유니버설디자인 공모전을 열고 있다. 올해로 벌써 3회째다.

가까운 부산 경성대학교에는 국내 유일의 유니버설디자인 전문기관인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센터장 이호숭)가 있다.

이 곳은 지난 2004년 문을 연 이후 유니버설디자인 제품 개발, 산업체 개발 상담 및 디자인 클리닉,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출판, 사용성 평가, 전문인력 양성 교육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하려는 산업체의 제품에 대한 디자인 클리닉을 위해 3D 조형기와 레이저 조각기, 뇌파 측정기, 근전도 측정기, 사용자 모니터링 등 장비를 갖추고 있다.

디자인 클리닉의 활동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샤워기에 대한 클리닉 문의가 들어오면 왼손잡이나 오른손잡이 상관없이 이용하기 편한 지, 샤워기 위치는 적절한 지 등을 일일이 확인한다. 또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끌어내기 위해 실제 집에서 샤워기 근처에 두는 칫솔이나 샴푸 등도 함께 구비한다.

이러한 과정을 연구원 등이 모니터로 지켜본 뒤 부자연스러운 행동이나 반복되는 행동 등을 확인해 개선해야 할 사항을 정리, 산업체에 알려준다.

이호숭 센터장은 “제품을 이용하면서 불편한 점이 무엇인지 다양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뒤 이를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도록 컨설팅해 주고 있다”며 “문제의식을 갖는 것이 바로 유니버설디자인 도입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 경성대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부설 체험전시관에는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제품 800여개가 전시돼 있는데 고령자·장애인 체험도 할 수 있다.

센터는 유니버설디자인 체험전시관도 운영하고 있다. 체험전시관에서는 이 센터장이 선별한 일본,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제품 800여개를 볼 수 있다.

이 센터장은 “아직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모르는 경우가 많아 프로모션이 중요하다. 그래서 체험전시관을 마련했다”며 “기업이나 일반인들이 이 곳에서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제품을 보고 만지면서 자연스럽게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필요성도 느끼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품들은 안전·위생, 생활용품, 전기용품, 장난감 등 종류별로 전시돼 있다.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배려해 소리와 빛으로 전화가 왔다는 정보를 알려주는 전화기, 반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비상용 헬멧맷, 어떤 자세로든 편하게 앉을 수 있는 의자 등 모두 사용자를 배려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제품들이다. 또 누구든지 사용하기 편하도록 살짝 변형된 젓가락이나 칼, 가위 등도 볼 수 있다.

특히 여러가지 종류의 보행보조기와 지팡이, 원예 제품에서부터 욕조 안 손잡이 등 고령자를 위한 제품들이 눈에 띈다.

이 센터장은 “앞으로 실버산업이 더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고령자들이 사용하기 편하도록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한 제품 개발이 각광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을 도입한 여러 종류의 제품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곳은 외국에서도 흔치 않다. 이 때문에 일반인뿐만 아니라 사회복지나 건축 분야 전문가, 기업 등에서 많이 찾는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9700여명이 체험전시관을 다녀갔다.

체험전시관에서는 고령자 및 장애인 체험도 할 수 있다. 이 체험 코스는 경사로(오르막·내리막)와 점자블록, 불규칙한 표면, 배수구 덮개, 일반출입구(문), 과속방지턱 등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경사로는 장애인편의시설증진법에 명시된 경사비율 8.3도를 적용해 현실성을 높였다.

보기에는 어려울 것 없어 보이지만 막상 휠체어를 타고 혼자 경사로를 오르고 내려오면 많이 힘들어 이게 정말 법에 명시된 기울기인지 의심이 들 정도다.

또 구멍이 나 있는 배수구 덮개를 지날 때면 휠체어 장애인뿐만 아니라 지팡이를 이용하는 노인, 유모차에 앉아있는 아기, 뾰족한 굽 있는 구두를 신은 여성들이 겪는 불편함이 뭔지 알 수 있다.

이처럼 체험코스에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뿐만 아니라 아동, 건강한 성인 등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 볼 만한 불편함을 체험할 수 있다.

글=홍은행기자 redbank@ / 사진=김경우기자 woo@ksilbo.co.kr

◆ 이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 지원으로 이뤄졌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