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인수위가 본격적 활동에 들어가면서 현 정부와의 인수인계 작업 및 새로운 국정 청사진이 국민의 눈길을 끌고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인사청문회 문제 등을 놓고 벌써부터 여야간 신경전도 벌어지고 있다. 대선에서 승리한 쪽이든 패배한 쪽이든 새로운 여야관계 설정과 내부체제 정비작업을 동시에 진행시켜야하는 바쁜 한해를 맞고있는 것이다.

 올해도 정치권이 편안한 가운데 국민을 안심시키는 의젓한 모습을 보이기는 여전히 어려울 것이라는 조짐은 벌써부터 이곳저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북핵 대응을 둘러싼 첨예한 시각차와 정치개혁의 방향에 대한 각 세력내 갈등은 불가피하게 마찰음을 낼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기본적으로는 대선후 여야가 새로운 자리를 잡아나가는 과정에서 진통이 적지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것이다. 곧 신임총리 내정자를 비롯해 권력핵심부 인사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문제가 정치테이블에 오르게 되면 한차례 뜨거운 공방이 전개될 것임은 이미 기정 사실이나 다름없다. 특히 주목되는 변수라면 여야의 내부 쇄신작업의 향배다. 변화의 양상에 따라서는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이나 당의 울타리가 깨지는 극단적 상황까지도 예상할 수 있고, 인적 쇄신이니 세대교체니 하는 논의의 방향으로 볼 때 주도세력의 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각 정파의 주도세력 변화가 여야관계에도 어떤 형태로든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새정부 출범과 맞물린 여야관계가 앞으로 어떻게 설정되어나갈 것인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대선에서 정치개혁에 대한 국민적 여망이 확인된 이상 새해 정치권의 제1차적 과제는 당연히 개혁과 쇄신이 되어야한다는 데 이론이 없을 것이다. 정치권도 이 문제를 화두삼아 접근하고는 있지만 제기되는 변화의 내용과 방향, 심도는 천차만별이다. 분명한 것은 어떤 개혁과 쇄신이든 그 맨 앞자리에는 국민의 뜻을 받들고 국민을 위한 정치를 펼쳐 나가겠다는 분명한 의식과 다짐이 자리잡고 있어야한다는 점이다. 정치권 내부논리, 정파별 이해관계가 앞서는 포장만의 변화로는 곧바로 국민의 외면을 사게될 것이라는 점은 새삼 지적할 필요조차 없는 일이다. 올해는 정치권의 쇄신과 변화가 심도있게 진행돼 우리 정치의 모습이 달라지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