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가 새정부의 12대 국정과제를 최종 확정하면서 지난 두달간의 활동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새정부의 정책운용 방향과 관련해 인수위원 인선 과정에서부터 세간의 관심을 끌었던 인수위는 그간 새정부의 국정지표 설정및 현정부로부터의 차질 없는 인수인계 작업을 위해 바쁜 일정을 소화해오면서 일거수 일투족이 집중적 조명을 받았다.

 내주 초 새정부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인수위의 활동에 대한 평가는 곧 노무현 당선자 진영의 전체적인 동선에 대한 평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할것이다. 인수위가 가동되는 것과 병행해 새 정부의 첫 청와대 인선작업 및 조각을 위한 후보인사 검증 등 인사와 정책방향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부문에 걸쳐 새정부가 닻을 올리기 위한 준비작업이 바쁘게 진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일반이 주목 했던 것은 사회적으로 ‘비주류’에 속해 왔다할 수 있는 이른바 ‘노무현사단’의 생각과 스타일이다. 당선자 진영이 개혁이라는 화두를 얼마나 매끄럽고도 유연하게 국가조직에 융화시킬 수 있는지, 그럴 능력과 구체적인 청사진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참여정부’의 국정비전에 걸맞게 국민의 염원과 기대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을지 주시해 왔다. 그런 점에서 당선자 진영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 인수위의 내부혼선이나 정부부처와의 대면 과정에서 있었던 마찰, 인수위 및 새정부 인사들의‘색채’에 대해 일각에서 제기됐던 우려 등은 여러모로 시사적이다. 의욕과잉과 경험부족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지만 전체적 평가는 아직은 유보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불과 두달이라는 짧은 기간에 새정부의 가능성과 한계, 능력과 자질을 재단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것이기 때문이다.

 인수위 마지막회의에서 노 당선자와 인수위원들은 한목소리로 ‘초심’을 지켜나갈 것을 서로 당부했다고 한다. 그 ‘초심’은 이제 국가라는 거대하고도 복잡한 조직을 꾸려나가는데 있어 지난 두달간의 짧은 경험이나마 소홀히 하지 않는 열린, 겸허한‘초심’이어야 한다. 그래서 정권 인수과정에서 제기됐던 사회일각의 걱정과 우려의 목소리도 신뢰와 안도로 바꿔놓을 수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