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 않아 있을 식목일을 앞두고 기존의 나무심기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지역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나무에 대한 깊은 연구도 없이 형식적으로 치뤄지는 식목행사는 더 이상 계속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옳은 말이다. 기존의 식목행사는 확실히 문제가 있다.

 우리의 식목일은 올해로서 58회째가 된다. 애림사상 보급과 국토미화, 산림녹화를 목적으로 농림수산부 주관 하에 실시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산지의 97%가 푸른 숲으로 이뤄졌다. 그러나 역사가 20~30년 밖에 안돼 아직 더 가꿔야 할 30년생 이하의 어린 나무가 전체 산림의 89%나 된다. 녹화기에 심었던 나무들의 경제적 가치도 낮아 국내 목재 수요량의 10%밖에 제공을 하지 못하고 있다.

 울산이라고 예외일 수 없다. 연간 20여만 그루가 지역의 산과 도로변에 심어지고 있으나 묘목장만 조성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무원칙적으로 수종을 선택, 형식적으로 나무를 심어온 탓에 나무들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해서 나온 말이다. 실제로 행정기관이 울산의 기후나 특성과 상관없이 강원도나 제주도에서 나무를 가져와 심는 바람에 식재된 수목의 상당수가 말라죽거나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26종 8만3천여 그루의 가로수 역시 주변 여건과 기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식재된 경우가 많아 고사 등 부작용이 적지 않다. 아무튼 이 같은 현실 속에서 울산시는 올해도 산불피해지역과 도심공원 등을 중심으로 15일 7천여 그루의 나무심기 운동을 실시했다. 식목일보다 앞당겨 3월에 나무를 심는 것은 식물 생태학상 뿌리내림이 좋아 활착률과 뒷자람이 훨씬 양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에서 지적했듯이 식목행사에 앞서 나무의 수종을 잘 선택할 일이다. 한가지 더 당부하자면 울산시가 공해와 무관하지 않은 만큼 환경수종을 고르고 심는 일에도 세심하게 접근했으면 한다. 가로수와 환경조림수, 차단녹지 용으로 심은 나무들이 맥없이 죽어나갈 경우 그만큼 ‘푸른 울산 가꾸기’의 꿈도 멀어질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