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현안문제 추진기기구들이 자체 사업비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본보 기사(1일자 1면)는 시사하는 비가 크다. 아울러 어떤 사안과 관련, 경쟁하듯이 단체(기구)를 구성하는 일이 얼마나 비능률적인 것인지를 새삼스럽게 확인하게 된다.

 현재 울산의 지역 현안문제 등과 관련해 움직이는 단체는 경부고속철도 울산역 유치 범시민추진위, 지방분권운동 울산본부, 국립대 설립 범시민 추진단 등이 있다. 이들 단체는 최근 급부상한 지역 현안문제 해결을 위해 나름대로 전방위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러나 예산의 대부분을 시에서 보조 받는데다 자체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범시민 운동을 효율적으로 실천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울산시가 이들 범시민 운동 민간단체의 활동을 지원할 목적으로 제 1회 추경예산안에 편성한 예산은 4천만원씩 총 1억2천만원이다. 그러나 이 예산은 각 단체들이 그동안 해온 사업이나 계획된 대규모 행사의 소모성 경비로 충당하게 돼 있어 신규사업 추진은 사실상 계획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현재로서는 각 단체들이 자체적으로 예산을 확보할 구체적인 방안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뜻 있는 인사들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전적으로 동감한다. 목적이 분명한 한시적 기구인 만큼 단체를 구성하기에 앞서 추진할 사업내용, 활동 및 해산시기, 예산확보 방법, 구성원 등을 꼼꼼하게 따지고 점검했어야 했다. 사업이라는 것이 단체만 구성해서 출범시킨다고 해서 순항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도 기존의 단체들은 이 점을 간과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무튼 각 단체들의 사업활동에 필요한 예산을 전적으로 울산시에 의존해서 쓰는 일은 있을 수 없다. 각 단체들이 내부적으로 자체 사업비를 일정부분 충당할 수 있게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이다. 각 단체의 구성원들을 보면 상당수가 울산의 덕망있는 인사들로 구성돼 있다. 그들이 앞장서서 기업체에 호소하든 시민들에게 호소하든 나름대로의 역할분담을 해야 한다고 본다.

 물론 경기불황으로 기업체나 시민들의 가계가 어려워 호소하는 일 자체가 이래저래 여의치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구성원부터 예산확보에 자발적으로 임해야 한다. 부족분을 보태는 일도 나부터 시작할 때 십시일반 그 성과가 나타나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