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의 운송거부 사태로 항만을 통한 수출중단은 물론 울산지역 내 일부 기업들이 "물류대란’에 직면하고 있다. 파업이 시작된 포항지부는 협상이 타결됐지만 부산지부 등 여타 지역의 경우 파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부산·광양항의 경우 반출입 물량이 평소보다 3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고 한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파업이 2~3일 더 지속되면 "수출 길이 막히는 것은 물론 공장가동이 멈춰지고, 외국 선사들이 일본이나 중국으로 화물 운송을 옮겨가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다’며 가슴앓이를 하고 있다.

 울산 역시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파업으로 부산항 컨테이너 반출입이 사실상 마비되는 사태가 4일째 계속되자 부산항으로 운반하는 지역내 기업체의 화물운송 중 상당수가 중단이 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수출차질과 함께 재고량이 급증, 석유화학 업종을 중심으로 주초에 공장 가동 감축 및 중단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울산의 모 화섬업체는 지난 9일부터 제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하루 20억원 가량의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한다.

 모 유화업체는 하루 280t 가량의 생산물량 중 일부 자가수요를 제외한 수출물량(200t)이 재고 처리돼 일부 생산라인의 가동 중단을 검토중에 있다. LG화학과 SK는 부산·광양항을 통해 오가던 수출입 물량이 사흘째 전면 중단됐다는 소식이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물류 수출입이 전용 부두에서 이뤄져 아직 직접적 피해는 없으나 타이어를 비롯한 부품조달이 여의치 않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경우 정부 및 운송회사와 교섭을 하되 요구 조건이 관철되지 않으면 13일부터 총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해 총 파업이 강행되면 파업에 따른 수출대란이 불 보듯 뻔한데도 정부는 파업에 대해 안이하게 대처하고 있다. 법을 위반해도 처벌하지 않고 무조건 요구조건을 들어주려 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우리는 이 같은 정부의 태도와 방침에 반대한다. 아울러 법과 원칙을 지키면서 현실의 불합리한 점을 시정하는 쪽에 서기를 기대한다. 타협이 무조건 옳은 것은 아니지 않는가. 위법은 위법이고 정책개선은 정책개선이다. 울산지역 기업들이 한시라도 빨리 이번 물류대란에서 벗어나기를 간절히 바란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