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는 일제강점기, 6·25 자유수호전쟁, 베트남전쟁, 그리고 4·19혁명 등 국가의 중대 위기가 있었을 때 목숨을 잃거나 몸을 다친 분들과 그 유·가족 등 보훈행정대상이 107만1천 가구이다. 이분들의 영예로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올해 보훈예산은 1조9천억원으로 정부 전체 예산의 1.7%나 된다. 이러한 보훈정책에 대한 국민과 보훈가족의 인식 및 견해는 어떠한가?

 지난 5월26일 "리서치 앤 리서치’가 국가보훈처의 의뢰로 전국의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 조사한 "국민 보훈의식 여론조사 결과’를 요약해보면 시사점이 많다.

 첫째, 국가유공자가 국가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했다는 데에는 국민의 86%가 동의하고 있다. 둘째, 국민의 38%만이 국가유공자가 국민들로부터 존경과 예우를 받는다고 응답했다. 셋째, 국가보훈시책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낮다’는 응답이 82%에 달하고 있다. 넷째, 독립기념관 등의 현충시설물을 태어나서 한번도 가본 적이 없다는 사람이 20%, 한두번만 가본 사람도 39%나 된다.

 다섯째, 전쟁 등 국가가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본인이 직접 참여하거나 가족이 참여하도록 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73%였다. 연령별로는 50~60대가 83%인데 비해 30대는 67%, 20대는 63%로 현저히 낮아진다. 마지막으로, 호국·보훈의식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청소년층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응답이 40%, 대국민홍보라는 응답이 27%로 그 뒤를 잇고 있다.

 위의 조사에서 국가보훈처가 많은 예산을 들여 열심히 노력해도 그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보훈의식 확산을 위해 가장 먼저 역점을 두고 추진하여야 할 정책이 청소년에 대한 보훈교육의 확대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OECD 선진 외국의 국가보훈 제도를 보더라도 청소년에 대한 보훈의식 교육이 크게 강조된다. 미국에서는 오랜 기간 내려온 전통으로 현충일 기념식 후 시가행진에 많은 청소년이 참여하며 참전사진전, 평화캠페인, 전적지순례 등 추념사업에도 학생이 함께 한다. 캐나다에서는 해외참전자 전적지 순례단을 구성할 때 전사자의 후손과 전국 각지의 소년단체 대표가 반드시 포함되며, 프랑스에서는 노르망디 상륙작전 격전지, 폴란드 유대인 강제수용소 방문 등 초·중·고교생 유적지 견학사업을 정부가 지원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청소년 학생을 위하여 일일전적지순례, 어린이 백일장, 웅변대회 개최, 현충일 안내 학생봉사대, 대학생 보훈캠프, 보훈문화교실 등을 운영하고 있으나 그 규모나 회수가 많이 못 미친다. 앞으로 국가에서는 국내외 사적지, 전적지, 호국·참전시설물 등 견학, 순례, 그리고 6·25기념 걷기대회 참가 등 보훈행사에 많은 학생이 한번 이상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여야 하겠다. 또한 지역사회에서도 모범학생에게 장학금을 수여하듯이 학생들의 보훈선양 기념행사 참여에 이해와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많은 청소년들이 함께 보고 듣고 걸음으로써 조국의 역사를 이해하고 선조의 애국정신을 느끼게 될 것이며, 이러한 경험은 그들이 사회의 중심이 되었을 때 건강한 국가와 사회분위기 조성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