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제 5단체가 내놓은 성명에는 이 나라 경제상황에 대한 위기감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 속에 "망국적 파업이 이런 식으로 계속될 경우 회사 문을 닫고 해외로 갈 수밖에 없다"는 강경 문구까지 들어 있어 섬뜩하기까지 하다.

 이런 가운데 25일 오후 민주노총의 총파업 일정에 따라 전국 130여개 사업장에서 7만여명의 근로자들이 4시간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울산에서만 현대자동차 등 13개 사업장에서 3만여 명의 조합원들이 이에 합세했다.

 현대자동차는 이날 오전 10시 파업에 앞서 기자회견을 통해 "올 임단협 승리를 위한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상견례 이후 16차례 협상을 했으나 회사는 단협 요구안 가운데 일부만 수용하는 등 불성실한 자세를 보였다. 효율적 교섭을 위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파업이 장기화로 이어졌을 때이다. 하루 파업으로 2천700여대(370억원)의 생산 차질을 빚게 되는 상황이 계속되면 당장 울산을 포함한 국내경제에 엄청난 손실을 가져올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게다가 수출전선에도 적색 등이 켜질 수밖에 없다. 협력 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이 제대로 조업을 할 수 없게 돼 결국에는 서민경제에도 이래저래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올해 노동계가 벌이는 일련의 파업들을 보면 솔직히 불안스럽다. 임단협 차원을 넘어선 정치투쟁, 나아가 정권의 공신력에 정면 도전하는 양상으로까지 비화되는 상황이다. "노동계가 정치적 성향을 띤 지 이미 오래 됐으며 법과 원칙은 진작에 훼손됐다"는 지탄이 끊이지 않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래도 갈피 못잡는 정부가 나서는 길 밖에 달리 길이 없을 것 같다. 제발 중심을 잡아 노동현장의 혼란을 잠재우고 경제를 건지는 거국적 대책을 마련했으면 한다. 시가 앞장서 전개 중에 있는 노사평화 정착 운동도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노동계의 투쟁 일변도 파업은 이쯤에서 멎어야한다.

 우리는 정부가 "노동계의 불법 파업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하겠다"고 한 말을 믿고 싶다. 현대자동차의 움직임도 그런 차원에서 지켜볼 것이다. 현대자동차의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울산경제의 앞날도 흐릴 수밖에 없음을 기억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