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평등 촉진에 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여성주간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고 한다. 여성발전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매년 치르는 행사지만 올해 여성주간을 맞는 여성들의 감회는 예년과 다른것 같다. 노무현 참여정부의 제1기 내각에 4명의 여성장관이 기용되고 여성계의 숙원인 호주제 폐지 문제가 정부차원에서까지 본격적으로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보다 여성장관 몇명 더 기용했다고 양성평등 사회가 실현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우리 사회가 양성평등 사회가 되려면 아직 멀었다.

 최근 20~30년간 한국 여성의 삶이 크게 변한 것은 사실이다.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이 1970년 25.3%에서 2000년대에는 67.3%로 뛰었고 여성 임금근로자 비율도 같은기간 28.6%에서 61.5%로 뛰었다. 그러나 아직도 한국사회에서 여성은 "단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법적·사회적 차별을 받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크게 늘어났다고는 하지만 여성근로자의 평균임금은 남성근로자의 63% 수준이며 고용상태도 불안정해 정부투자기관 여성인력의 69%가 임시·별정직 종사자라고 한다.

 무엇보다 우리나라는 지난 5년여에 걸쳐 국회의원, 고위공직, 기업 고위간부 등 3개 분야에 대한 여성 점유율이 세계에서 최하위 수준에 있는 나라다. 유엔개발계획(UNDP)의 여성권한척도(GEM)로 따져 볼 때 경제적·정치적 참여와 의사결정 등 핵심분야에서 여성지위가 64개국중 61위라고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선진국이라는 한국이 남녀평등지수에서는 피지나 스와질랜드와 다를 바 없다니 이래가지고야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는가.

 여덟번째 여성주간을 맞아 여성계가 당장 바라는 것은 호주제 폐지, 공보육제실시 등 숙원을 해결하는 것이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여성주간이나 "여성의 날"이 필요없는 세상, 양성평등이 실현되는 사회일 것이다. 양성평등 사회가 되려면 관련법이나 제도도 물론 마련해야겠지만 잘못된 의식과 관행부터 고쳐나가야 한다고 본다.

 성차별적인 의식과 관행의 피해자는 여성이지만 세상의 절반인 여성의 불행은 남성의 불행이기도 하다는 것을 우리 사회가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가정과 직장, 사회 모든 부문에서 남녀가 조화로운 동반자 관계를 이루는 양성평등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는 물론 모든 여성과 남성의 강력한 의지와 실천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