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동북아 경제중심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동북아 경제중심 전략의 파급효과를 전국으로 확산시켜야 한다. 그러나 현재 정부의 동북아 경제 중심전략은 울산 등 환동해권의 역할 확대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수도권과 부산, 광양 등 3각 축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것이다.

 울산시의 21세기 목표는 "한국을 대표하는 환태평양의 중심도시"이다. 시는 이를 위해 기존의 주력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전략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특히 울산신항만을 중심으로 항만 및 물류 관련 시설을 확충하고 무역, 금융, 법률, 정보통신 등 고부가가치형 비즈니스 산업기반 확충에 전력을 쏟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3일 울산시가 역점사업의 하나로 항만 관련 직제 및 인원확충, 항만공사제 도입 추진, 포트세일즈 실시 등 항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적극 추진키로 한 것은 참으로 시의적절한 조처이다. 아울러 오는 9월께 "울산항 인프라 비전21"의 용역결과가 나오면 울산항의 장기적 마스터플랜도 윤곽이 드러날 것이므로, 향후 항만 관련 사업에 활기를 불어넣는 자양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지역에 사는 시민들로서는 시의 장래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자유무역지역 지정을 비롯해 자동차 부품과 정밀화학, 신소재, 정보통신 등 향후 지역 특화산업의 국제경쟁력을 가속화 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산업도시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산업, 문화, 환경, 인간이 조화되는 국제도시로 바꾸기 위한 민·산·관 추진체계도 도입할 것을 조심스럽게 권고한다.

 이에 앞서 구체화시켜야 할 것이 "울산항의 국제화"이다. 관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울산항은 앞으로 이웃의 부산항과 함께 동북아 중심항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양분하면서 경쟁할 수밖에 없다. 울산신항만 건설 등 지역의 항만분야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이유가 그 속에 있다.

 울산은 천혜의 항만과 양질의 생산기술 인력이 확보돼 있는 등 최적의 기업경영 환경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지역 산업의 클러스터가 형성되지 못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면도 없지 않다. 시의 항만 활성화 방안이 환태평양의 중심도시로 나가는 활로를 여는 승부수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