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20년후인 2021년 150만명을 수용하는 울산의 도시공간구조는 현재의 시내지역(1도심)을 중심으로 언양, 농소, 온양, 방어진 등 "1도심 4부도심 5지역"으로 확산되는 분산형 집중구조로 개발된다.

 생활권역도 2016년 도시기본계획 당시 두동·두북의 서북대생활권과 삼남·삼동의 서남대생활권을 통합한 언양대생활권과 범서·웅촌·청량 등의 서부대생활권, 중부와 남부대생활권 등 7개 대생활권으로 재편된다.

 울산시는 7일 개발제한구역 조정과 관련, 국토연구원에서 용역한 2016년 목표의 울산도시기본계획을 5년 연장한 2021년 울산도시기본계획을 이같이 공개했다.

 2021년 울산의 미래상은 취약한 첨단 하이테크 산업을 유치, 테크노시티 형성을 위한 기반시설 용지확충을 통한 하이테크 산업도시로 변모한다.

 또 광역교통체계 구축과 철도복선화 등을 추진해 국제무역·물류 거점도시, 관광·휴양기능을 강화한 산업·문화 관광도시, 농촌지역 토지이용 체계 정비 등으로 도농복합 기능도시로 탈바꿈 하는 것으로 설정됐다.

 국토연구원이 추정한 2021년 울산의 계획인구는 150만명. 지난 97년 2016년 기본계획 수립시 추정한 160만명보다 10만명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같은 계획인구를 바탕으로 토지수요를 추산한 결과 주거용지 101㎢, 상업·공업용지 등 시가화구역이 2016년께 당시 보다 32.9㎢ 증가한 188.37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시가화 예정용지는 개발제한구역 조정총량 31.721㎢를 포함해 60.850㎢로 2016년 도시기본계획 당시 보다 무려 55.3㎢ 증가했다.

 시는 도시계획이 미 수립된 기존 주·상·공업용지는 시가화 예정용지로 계획에 반영하고 개발제한구역 조정가능지역은 저밀도 전원형 주택단지 등으로 계획관리할 방침이다.

 지역 균형개발과 개발제한구역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도시의 공간구조를 "1도심 4부도심 5지역"중심의 분산형 집중구조로 재편하되 개발축도 현재 남북 1축과 동서 1축의 개발축을 유지하면서 주변 지역 거점과의 소규모 연계축이 설정된다.

 교통망은 동서 3축(상북~삼산~울산역, 상북~성안~강동, 삼남~농소)과 남북 3축(온양~농소 등) 에다 외곽 순환형 교통망도 구축된다.

 울산지역 생활권 가운데 중앙생활권(남구)은 행정·업무·정보 등 중추관리기능으로, 중부생활권(중구, 북구 효문동 일부)은 중심상업과 업무기능, 동부생활권(동구, 북구 염포·양정)은 조선 자동차산업 및 해안관광기능으로 특화된다.

 북부생활권(북구)은 주거, 자동차산업, 해안연관기능으로, 서부생활권(범서,웅촌, 청량, 남구·중구 일부)은 주거, 체육, 휴양기능, 언양생활권(언양·상북·두동·두서·삼남)은 전원주거와 위락·관광휴양기능, 남부생활권(온양 ,온산, 서생)은 신산업과 관광휴양기능으로 재편된다.

 울산시는 도시기본계획 공청회에서 공원지역 감소, 생활권 설정잘못, 계획인구 추정 등의 제시된 문제점을 국토연구원과 재검토해 시의회와 도시계획위를 거쳐 내년중 건교부에 승인, 확정할 계획이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