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울산지역은 대륙간컵대회와 월드컵 준비 등으로 도로와 교통, 경기장 시설 등 도시 기반시설이 대폭 확충됐고 도시의 환경과 시민의 생활환경도 크게 개선됐다는 평가다.

 그러나 노사 마찰로 지역경제 회생에 먹구름을 안겨줬고 지역 공무원들의 잇단 비리사건과 지역기업들의 공해유출사건이 터지면서 지역사회에 불신과 불안감을 던져 주기도 했다.

 본지는 올해 울산지역에서 추진된 도로 등 각종 사업을 부문별로 점검하고 환경, 노동, 교육, 지방행정 등의 추진현황과 문제점 등을 점검해 본다. 〈편집자 주〉

울산지역 교통체계 개선을 위한 국가시행 및 지자체 시행의 도로와 철도 등 교통체계 확충사업이 올 한해에도 지속 추진돼 도시의 교통망이 크게 개선됐다.

 그러나 교통체계 개선계획은 토지보상 절차의 장기화로 인한 공기지연과 발주청의 관리 감독 부재로 소음과 분진 등 민원유발과 늑장시공 등의 문제점을 낳아 "시민의 발목"을 잡기도 했다.

 울산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2011)에 따르면 울산시민 10명당 하루 교통인구는 9.2명꼴. 시민 대부분이 승용차, 택시, 시내버스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해 도로 및 철도를 이용한다.

 또 10년 뒤인 2011년 하루 교통인구는 293만명으로 지난해 보다 90만명이 증가하며 화물통행량도 하루 48만1천대가 유입 또는 유출돼 교통시설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울산지역에서 추진중인 2개이상의 광역시·도에 걸치는 도로와 철도 등 광역교통시설은 울산~포항, 부산~울산 등 고속도로 5개와 동해남부선복선전철화사업 72.1㎞ 등 6곳.

 국가가 지원하거나 시행하는 지역간 간선도로는 울산~농소간 4차선 확장공사를 비롯해 국도 24호선(울산~상북)확장, 국도 31호선(울산~강동)확장 등 9건이 진행중이다.

 한국도로공사가 지난 98년부터 추진중인 부산~울산간 고속도로(길이 40㎞)는 설계부실과 보상민원 등으로 공기의 절반이 올해 하반기 토지보상에 들어가 2006년 완공 자체가 어렵게 됐다.

 주민들의 도로선형 변경요구와 보상금 수령거부 등으로 지난해 예산(300억원)은 물론 올해 확보한 토지보상금(500억) 집행도 늦어져 사업이 지지부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97년 기획예산처로부터 총 공사비 6천800억원규모로 승인을 받았으나 기본설계 부실 등으로 공사비가 1조3천억원으로 불어나 정부의 사업비 배정시 우선순위에 밀려 애물단지로 등장할 가능성도 높다.

 도로공사가 내년에 정부에 요청한 사업비 1천800억원 중 600억원만 반영돼 이같은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어 향후 최소 4~5년이상의 공기지연이 우려되고 있다.

 신항 물동량 수송을 위한 울산신항고속도로(길이 7.5㎞. 사업비 3천980억원)사업도 시행주체가 중앙부처로 바뀌지 않을 경우 지방재정부담을 압박시킬 우려를 낳아 정부의 대책이 요구됐다.

 지역간선도로의 경우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시행중인 국도24호선 확장사업은 토지보상과 문화재발굴 지연 등으로 공기가 지연돼 범서·언양지역 주민 수만명이 통행에 큰 불편을 겪었다.

 특히 울산~범서 구간(9.55㎞)은 곳곳에서 삼국시대와 청동기 시대 유적이 나와 발굴조사에 2년이상이 소요된데다 유적이 나온 일부 구간은 상수도 관로매설 등을 이유로 덮어버려 아쉬움으로 남았다.

 다행히 부산청이 주민들의 통행불편이 계속되자 공기를 올 연말로 1년 앞당기기로 한데다 내년도 새해 예산에도 사업비 대부분이 반영돼 정상 개통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울산지역은 막대한 예산 소요로 정치적 기류에 의해 예산이 가감되는 고속도로와 지방국도 개설은 재원부족으로 차질을 빚어 정상적 추진과 지역민의 삶의 질도 차기 정부의 선택으로 넘겨지고 말았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