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을 가늠하는 잣대는 국민소득과 국민총생산 등 여러가지가 있다 그러나 선진국이 되기 위해 꼭 갖추어야 할 요건이 있는데 이중 첫째는 교육제도가 제대로 자리를 잡아 무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두번째로 의료복지가 안착되어 돈이 없어 진료를 받지 못하는 사람이 없어야 한다. 세번째로는 노인복지 정책이 선행되어 늙어서 오갈데 없는 노인들이 없어야 한다. 국민소득 1만달러에 근접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아직 선진국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런 제도가 아직 안착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최근 통계청은 우리나라 노령화지수가 35.0으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고 발표했다. 그런데 노인들이 이렇게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우리 사회가 노인 복지를 위해 그동안 얼마나 준비를 해왔는가 하는것을 생각하면 답답하다. 고령화는 세계적인 추세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노인문제를 사회문제로 제대로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 노인인구가 늘어나면 그 만큼 사회 문제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우선 국가 재정면에서 보면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 생산이 즐어드는데 반해 이들을 부양하기 위한 각종 시설비와 연금 등이 늘어나게 된다. 노인이 되면 신체적·.정신적으로 약해지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 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사회가 지금 부터라도 고령화 사회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하는것은 이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예비 노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부가 펼친 노인 정책을 보면 노인의 숫자는 이렇게 늘어나는데도 노인 문제를 너무 가족들에게 의지한 면이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사회복지정책에서 노인정책의 우선 순위를 다른 사회정책에 비해 낮게 잡는 등 노인 보호를 위한 제도를 안착시키지 못했다. 우리는 산업사회가 되는 과정에서 눈부신 경제성장을 했지만 대신 경로사상이 소홀해 진것이 사실이다. 이때문에 핵가족과 가족해체 현상 등으로 노인부양은 이제 더이상 전통적인 효사상에 기댈 수 없게 되었다. 정부가 의료요양 시설의 확대와 노인들이 기거할 수 있는 각종 시설을 서둘러 확보해야 하는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 보다 중요한것은 앞으로 노인 문제에 대해 우리사회 모두가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