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한 인건비와 조세혜택 등. 지난 수십 년간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 둥지를 튼 가장 큰 이유였다.
 그러나 중국의 최저임금은 최근 5년 새 배로 인상됐고 각종 경영규제도 한국 못지않게 까다롭게 바뀌고 있다.
 근년 들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중국에 진출한 외국기업들 사이에서 새로운 걱정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CSR은 기업도 사회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개념으로, 기업(제품)의 신뢰도 제고, 노동인권 개선, 기부·봉사활동 참여, 오염물질 배출 감소 등의 책임을 포괄적으로 제시한다.
 ‘권고사항’이지만 무시했다가는 정부와 민간으로부터 유무형의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부담거리가 되는 것이 현실이다.
 중국 칭다오(靑島)주재 한국총영사관과 옌타이(烟台)시 외사판공실이 23일 옌타이시에서 우리 기업인 100여 명을 초청해 ‘CSR 세미나’를 연 것 역시 이 문제가 당면과제가 됐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쑨샤오원(孫孝文) 중국사회과학원 CSR 연구센터 상무 부주임은 이날 ‘CSR보고서 작성요령’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2006년까지만 해도 CSR 보고서를 발간한 중국기업은 32개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1천231개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중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국내) 기업들에 CSR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며 “상하이(上海), 선전(深천<土+川>) 등에서는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기업들조차도 사회적 책임을 성실하게 이행하지 않으면 기업활동이 쉽지 않은 시대가 왔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세미나 현장에서 배포된 ‘CSR 실행지침서’(주상하이 총영사관 발간)는 중국사회에 나타나 인식변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2009년 칭화(淸華)대학과 루더핀(RuderFinn)사가 공동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3%의 중국소비자들은 우수한 CSR 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을 ‘우선구매’한다고 대답했다.
 또 중국소비자가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CSR 활동은 ‘상품의 질’(77%), 환경보호(60%), 투명경영(47%), 자선활동·공공복지(24%), 생산안전·노동위생(24%) 순이었다.
 이 지침서는 “(중국정부는) 제12차 5개년 경제발전계획(2011∼2015년)에서 사회적 복지·분배를 강화했다”며 “재중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세미나에서는 중국의 낙후지역 34곳에서 학교지원사업을 전개하는 두산과 내몽골 지역에 125㎞의 모래장벽을 구축하는 현대의 토지복원 사업 등이 모범적인 CSR 사례로 제시됐다.
 세미나에서 소개되지는 않았지만 중국삼성이나 CJ, 아시아나항공, 이랜드, LG전자 등도 청소년지원사업, 환경개선사업, 소외계층 문화기부 등의 CSR 활동을 전개하며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대만, 일본기업 등에 비해서는 여전히 뒤져 있고 특히 중소기업 차원에서의 CSR 활동은 많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일부 행사 참가자들은 이날 두산의 학교지원사업 대상 중 하나인 바자오(八角)초등학교를 둘러보기도 했다.
 두산이 이 학교에 지원해온 물품은 우리 돈으로 약 5천만 원 상당. 그러나 10여년간에 걸친 지속적인 지원과 직원들의 배려에 학교와 지역사회는 진심으로 고마움을 느끼는 듯했다.
 저우정런(周正人) 교장은 “두산의 관심과 책임의식은 (지역사회) 전체에 모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며 감사를 표했다.
 일부 참가자들은 이를 두고 작은 실천활동이 지역사회의 신뢰를 얻을 수 있고 훌륭한 CRS 활동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다.
 주최 측은 우리 기업인들에게 자선과 사회투자는 지역사회의 반발과 저항을 줄이는 전략이 되기도 한다며 ‘부담’을 ‘기회’로 바꾸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