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수립된 울산항 원유부이 이설안이 전면 재검토되어야 한다는 원유부이 이설예정위치 안전성 검증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해양수산부가 전면 재정비용역에 들어가 울산신항 건립에 미칠 영향이 최대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특히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이 이번 재정비용역에서 원유부이 이설을 최소화하거나 이설하지 않는 방안도 검토대상이 된다는 입장을 밝혀 울산신항의 건립규모가 큰 폭의 변동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원유부이 3기 우선 이설 후 나머지 2기를 차후 이설한다는 기본이설안을 전제로 할 경우 원유부이 운영 및 안전성 확보가 힘들어 대안 마련조차 힘들다는 용역팀의 최종보고서는 해양수산부가 국가기반시설인 원유부이의 중요성을 간과했음을 사실상 의미한다.

 용역팀은 기본이설안을 전제로 해 원유부이 5기 모두를 이설하는 안과 S-oil의 부이를 그대로 두고 나머지를 옮기는 안을 놓고 재시뮬레이션을 했으나 안정성과 운영상 물류비용 증가, 원유수급 등 문제로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용역팀은 시뮬레이션 결과 당초 해수부의 원유부이 이설 기본계획안을 전제로 할 경우 마땅한 대안을 찾기가 힘들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해수부와 울산해양청, 울산신항 기본계획수립 등 참여업체들은 계획수립 및 설계 당시 원유부이 이설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하지 않은 점을 인정하고 있다.

 기본계획수립 등 참여업체들은 원유부이가 하나의 해상지장물로 인식돼 참고대상은 되었지만 검토대상은 아니었다는 입장이다.

 해수부는 이에 대해 원유부이 시설건립허가조건상 정부공사시 시설소유주가 자진 이설토록 되어 있어 이설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으나 시설소유주가 이설비 부담을 요구해 사업순위가 변경되는 등 현재의 어려움을 초래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해수부는 울산신항만공사가 턴키(설계시공일괄)방식으로 수주되는 바람에 실시설계를 거치지 않아 국가기반시설인 원유부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뤄지지 않은 점을 일부 시인했다.

 특히 울산해양청은 해수부의 재정비용역 과정에서 울산항 원유부이 이설을 최소화하거나 전혀 이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입장을 최근 밝혀 울산신항만 건립이 차질없이 진행될수 있을지 의문이 되고 있다.

 만약 원유부이를 전혀 이설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신항만 공사를 건립할 경우 원유부이 문제로 순위조정된 북방파제 공사의 추진이 힘들게 되며 이 경우 2단계로 순위조정된 온산항 북항 신항만 시설 건립 자체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어 반쪽공사의 우려마저도 낳고 있다.

 해수부는 이에 대해 울산신항만은 차질없이 추진되며 원유부이 이설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견지하고 있어 재정비용역이 완료되는 올 9월께나 전체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