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의 부재 1년반만에 SK그룹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이 곤두박질치면서 ‘SK 위기론’이 점차 현실화하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이 2분기에 5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한데 이어 이번 주부터 줄줄이 발표 예정인 SK네트웍스, SK텔레콤 등 주요 계열사들 역시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밑돌거나 정체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에 이어 이번 2분기 역시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 악화가 계속됨에 따라 SK에 대한 시장의 실망감은 우려로 바뀌고 있다.
 앞서 1분기에도 SK그룹은 SK하이닉스를 제외한 나머지 계열사들 영업이익이 8천482억원에 그쳤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이었던 2009년 1분기 영업이익(1조6천836억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수준이다.
 ‘SK의 막내’ SK하이닉스가 1분기 1조573억원, 2분기 1조839억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과 극명히 대비된다. 인수 3년여만에 ‘어닝 서프라이즈’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SK하이닉스가 없었다면 SK는 내밀 명함조차 없다.
 SK는 이에 따라 내부적으로 ‘하이닉스 편중현상’에 대한 경계감과 함께 주요 계열사의 실적악화에 대해 극도의 긴장감을 노출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올초 최 회장의 4년 실형 선고 이후 핵심 계열사들의 실적악화가 계속되며 내부적으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지난해 1월 31일 1심 선고공판에서 법정구속된 이래 수감 1년6개월째를 맞고 있다.
 먼저 SK이노베이션은 이번 2분기에 매출 16조4천937억원에 영업손실 503억원을 기록했다. 정제 마진 하락과 환율 급락, 화학사업 수익성 악화라는 3중고가 겹쳐진 결과다.
 그나마 석유개발사업 부문에서 전분기보다 84억원 증가한 1천127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적자 폭을 줄일 수 있었다. 석유개발사업 부문은 최 회장이 오래전부터 공을 들여온 분야로 과거의 노력이 현재의 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최 회장의 부재 상황이 이어지면서 석유개발사업 부문이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수익을 낼 수 있을지는 극히 불투명하다.
 SK텔레콤 역시 2분기 실적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시장 기대치인 영업이익 6천억원선에 못미치는 5천400억원선의 영업이익 전망이 나오고 있다.
 수년간 이어지고 있는 SK텔레콤의 성장 정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인수합병(M&A)이나 사업구조의 근본적 재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 역시 총수의 부재로 인해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 그룹 전체의 캐시카우(현금창출원) 역할을 하고 있지만 SK하이닉스 역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최 회장의 부재가 불안요소다.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지지 못할 경우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가 언제까지 지속할지는 장담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많다.
 현재 SK는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중심으로 최악의 위기상황을 타개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달 말에는 김창근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사 최고경영자(CEO) 30여명이 1박 2일 긴급 워크숍을 갖고 위기극복 의지를 다지기도 했다.
 문제는 위기감을 잠재울만한 뾰족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룹 내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그룹 총수가 결단을 내려 성사된 SK하이닉스 인수와 같이 그룹의 미래를 좌우할 대형 프로젝트를 수펙스추구협의회 차원에서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다.
 SK 관계자는 “자금이 많이 투입되는 투자거래는 그룹 대주주의 판단과 결정이 필수적”이라며 “구조조정이나 사업재편 필요성도 제기되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 최근 국내에 굵직한 M&A 매물이 쏟아지고 있지만 SK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SK의 위기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면서 “재계 3위 그룹의 위기는 다른 기업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 여파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