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경북 의성군에 이어 고령군 한 돼지농장에서도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나오자 경북도의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의 핵심 예방대책이 일선 현장에서 겉돈 탓에 ‘여름철 구제역’이 산발적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4년전 전국을 휩쓴 안동발 구제역 파동 후 방역당국은 재발방지 대책으로 소·돼지 등 구제역 감염 가능성이 있는 가축에 대한 100% 백신접종을 재발방지 대책으로 내놨다.
 그러나 접종 이행을 사육 농가에만 맡겨놓다보니 부정확한 주사 등 잘못된 접종 방법으로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 이날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은 고령군 운수면 농장의 경우 9개 동에서 기르는 돼지 2천15마리에 대한 백신접종을 모두 마친 것으로 알려졌으나, 30여마리에서 발굽이 벗겨지고 출혈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경북도 측은 “돼지 근육(목·엉덩이 등)에 백신을 주사해야 하는데 잘못해 지방에 놓으면 효과가 떨어진다”며 “일부 농장주의 경우 경험이 많은 농장주에게 접종법을 배우지만 미숙한 탓에 주사 도중 바늘이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사육농가들의 백신접종 이행 여부를 면밀히 관리·감독하지 않는 지자체의 책임도 있다.
 통상 농장주들은 백신접종 여부를 일지에 기록하고 다른 농장으로 가축을 보낼 때 그 기록을 함께 넘겨야 한다. 그러나 지자체와 방역당국은 농장주들 자율에 맡겨놓았을 뿐 직접 확인하지 않고 있다.
 3년3개월만에 구제역이 첫 발생한 의성군 농장의 경우 지난 5월 고령의 한 농장에서 생후 70~80일 된 새끼돼지 651마리를 2차례에 걸쳐 입식했다. 해당 농장주는 입식 후 한달이 지나 예방접종을 실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예방접종을 마쳤다고 알려진 새끼돼지 200여마리에서 발톱이 빠지거나 수포가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자 방역당국은 현재 예방접종 실시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경북도 등은 올해 구제역의 경우 백신접종 자체가 없었던 4년전에 비해 확산 속도가 늦고 발생 빈도 역시 줄어들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구제역이 발생한 의성·고령 농장 2곳을 중심으로 한 소규모·산발적 발생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의성과 달리 고령 농장 주변 500m이내에는 3농가에서 소 228마리를, 1가구에서 돼지 1천550마리를 각각 키우고 있다. 또 3㎞ 이내로 범위를 넓히면 152가구에서 소 2천321마리를, 6가구에서 돼지 9천750마리를 각각 사육 중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병 원인을 추적 중”이라며 “현재 또 다른 농가에서의 구제역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