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내수가 개선된 영향으로 6월 실물경제 증가세가 3년3개월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2.1% 늘어 3월(0.7%) 이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4월, 5월에는 각각 전월 대비 0.6%, 1.2% 감소했다.
 6월의 전산업생산 증가율 2.1%는 2011년 3월(4.1%) 이후 39개월만에 최대치다.
 광공업생산(2.9%)과 서비스업생산(1.6%), 소매판매(0.3%)가 일제히 전달보다 늘었지만 설비투자(-1.4%)는 감소세를 보였다.
 광공업생산은 2009년 9월(3.7%) 이후 57개월만에 최대치인 2.9%의 전월대비 증가율을 기록했다.
 자동차 생산 등이 부진했던 지난달에 대한 기저효과와 함께 모바일용 반도체의 국내외 수요가 있었던 반도체 및 부품(11.2%), 금속가공(5.9%)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일부 생산라인이 정기 보수로 멈췄던 석유정제(-4.5%) 기계장비(-2.6%) 등에서는 감소했다.
 생산자제품출하도 반도체 및 부품(10.7%), 금속가공(6.6%) 등에서 늘었고 기계장비(-7.7%), 석유정제(-4.3%) 등에서 줄었다.
 내수 출하와 수출 출하는 전월보다 각각 2.1%와 2.7% 늘었다.
 내수 출하는 1차 금속(3.7%), 자동차(3.4%) 등이 증가했고, 수출 출하는 반도체 및 부품(11.8%), 금속가공(11.0%) 등에서 늘었다.
 생산자제품재고는 화학제품(-1.6%)과 의복 및 모피(-1.7%) 등에서 줄었다. 기계장비(3.7%)와 영상음향통신(14.2%) 등의 증가세에 힘입어 전달보다 1.0% 늘어났다.
 제조업의 재고/출하 비율(재고율)은 119.7%로 전월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경기국면의 변환을 판단할 수 있는 제조업 재고출하순환도는 출하 증가폭(0.9%→1.0%)과 재고 증가폭(5.6%→8.6%)이 모두 확대된 모습이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전월과 비슷했다. 반면 가동률지수는 전월보다 2.8% 늘었는데, 석유정제(-3.5%)와 가구(-6.7%) 등에서 감소하긴 했지만 반도체 및 부품(7.5%), 금속가공(6.3%) 등에서 증가해서다.
 6월 서비스업 생산은 전월대비 1.6% 늘었다.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4.2%), 금융·보험(2.1%) 등이 증가세를 이끌었다. 협회·수리·개인(-3.4%) 등은 줄었다.
 소비도 늘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승용차 및 가전제품 등 내구재(3.6%) 판매가 늘어나면서 전월대비 0.3% 증가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1.9%)와 차량연료 등 비내구재(-0.6%)는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이 증가했으나 일반 기계류와 기타운송장비 등의 투자가 줄어 전월보다 1.4% 줄었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 및 토목공사가 늘어 전월대비 2.7% 증가했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토목공사 실적 부진으로 2.9%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연구소 등에서 감소했음에도 주택, 사무실·점포, 발전 등에서 늘어 작년 같은달보다 23.3%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산업생산과 광공업생산이 이달 들어 증가세로 돌아선 것에는 지난달 수치가 좋지 않았던 것의 기저효과가 작용한 부분도 있지만, 모바일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과 내수가 개선된 영향이 크다”며 “전반적으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지만 아직은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