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11대 임금 중종에게는 후궁이 9명 있었다. 이중에서도 경빈 박씨와 희빈 홍씨및 창빈 안씨가 요주의 인물이다.  때문에 SBS 월~화 드라마 〈여인천하〉가 중종의 정비인 문정왕후, 정난정이라는 요부와 함께 이들 후궁 3명을 드라마 주축인물로 설정한 것은 적절하다.  하지만 문정왕후의 절대 비호 아래 정권을 농단한 윤원형이라는 인물이 실제는 문정왕후의 동생임에도 오라비로 설정된 것이나 후궁들의 신분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차이가 있다.  국민대 국사학과 지두환 교수가 최근 펴낸 〈중종대왕과 친인척〉(역사문화) 시리즈 중에서도 후궁에 대해 전체를 할애한 마지막 제3권은 드라마와 기록의 괴리를판별할 수 있는 준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볼 때 드라마가 실상을 가장 왜곡한 후궁은 창빈 안씨이다. 조선왕조에서 중전은 지존이기 때문에 직급이 없으나 그 아래 후궁은 각기 직급에 따른 차별이 있었다. 빈은 후궁 중에서도 직급이 가장 높아 영의정·좌의정·우의정과 같은 정1품 대접을 받았으나 창빈 안씨는 중종 대에는 빈이 아니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종의 경우 빈은 경빈 박씨와 희빈 홍씨 두 명뿐이었다. 나머지 후궁은 숙룡(종3품)이니 숙원(종4품)이니 상궁(정5품)이니 해서 직급이 낮았다.  〈여인천하〉에서 창빈이라고 해서 정1품 빈으로 나오는 안씨는 이 책에 따르면 중종 13년(1518년) 후궁이 된 다음 상궁과 숙원을 거쳐 명종 4년(1549)에 숙룡으로 죽는다. 그러나 죽고 난 다음인 선조 10년(1577)에 빈으로 올랐다. 안씨가 선조의 할머니였기 때문이다.  또한 드라마 〈여인천하〉에서 정1품인 경빈 박씨가 같은 직급인 정승들을 불러놓고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하는 식으로 마치 하인을 부리듯 설정하고 있는 것은 대단한 역사왜곡일 수 있다.  중종 후궁 가운데 불행한 인물은 경빈 박씨. 아버지 박수림이 명색만 사대부였지 몹시도 군색한 살림을 했던 것으로 미루어 별다른 배경없이 오직 빼어난 아름다움을 발판으로 한때 중종의 총애를 독차지했다. 아들 복성군을 낳아 중종의 두번째 부인 장경왕후가 죽었을 때는 중전이 될 뻔도 했으나 나중에 영의정이 되는 정광필의 반대에 밀려 빈으로 그대로 눌러앉아야 했다. 결국에는 이른바 "작서(灼鼠)의 변(變)"이라 해서 쥐를 태워 죽이는 의식을 행함으로써 동궁, 즉 세자를 저주하려 했다는 혐의를 쓰고 쫓겨났다가 아들 복성군과 함께 사약을 받고 죽는다.  반면 연산군을 몰아낸 공로로 정국공신 1등에 제수된 홍경주를 아버지로 둔 희빈 홍씨는 드라마 〈여인천하〉에서는 매우 철딱서니없는 여인으로 설정돼 있는데 88세라는 장수를 누리다가 선조 14년(1581)에 졸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