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화·민주화 주도한 베이비붐 세대
대대적 은퇴 앞두고 사회적 문제 대두
정부차원 취업환경 조성 등 대책 필요

▲ 조일래 (주)한주 공장장·전무

우리나라의 베이비부머는 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나 산업화와 민주화를 주도한 세대를 말한다. 이 시기에 태어난 인구는 대략 715만 명 정도인데 이들의 대대적인 은퇴를 앞두고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은 한국전쟁 이후 황폐화된 국토에서 대부분 가난한 농부의 자식으로 태어나 보릿고개를 겪으며 대학 진학보다는 공고, 농고, 상고 등 실업계 고등학교에 진학해 한시라도 빨리 취업을 해 가정에 보탬이 되어야 했고, 이국만리 열사의 나라로 가족과의 생이별도 서슴지 않았던 세대였다. 통계에 따르면 이들 중 약 400만 명은 생계를 걱정해야할 노후를 맞을 것이라 한다.

이러한 은퇴 뒤의 생활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은 일자리를 제공해 주는 것인데 현 취업 시장의 한계로 퇴직 시니어가 재취업을 하는데 있어서 취업분야, 연령제한 및 임금수준 등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청년실업 문제에 묻혀 중요 관심사로 부각되지 못함에 따라 시니어 취업시장의 활성화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실정이다.

울산의 주요기업들을 살펴보면 현대중공업의 상시 근로자는 2만4000명으로 이중 베이비부머 첫 세대인 55년생이 지난해 1019명 퇴직한 것을 시작으로 오는 2020년 62년생까지 8년간 매년 1150명씩 총 9200명이 퇴직할 예정이고, 현대자동차의 상시 근로자 2만6000여 명 중 55년생 수백명이 2016년부터 퇴직이 시작되며, SK에너지 울산공장은 3000명의 근로자 중 22.3%인 670명이 베이비붐 세대다.

그나마 대기업들은 회사적 차원에서 지원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일할 수 있는 기간을 연장해 주는 것인데, 장기근속에 따른 고임금과 청년실업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그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고급 지식과 기술력을 퇴직이라는 이유로 사장시켜 버리기엔 개인이나 기업 크게는 국가적인 손실이라 볼 수 있다.

최근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 활성화의 최대 걸림돌을 고용의 경직성으로 판단하고 ‘정규직 고용 유연성 제고’를 골자로 한 노동시장 개혁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고용의 경직성은 청년실업자와 시니어 구직자들을 더욱더 힘들게 만들고 있어 세대간 일자리 나누기, 임금의 유연화 등 고용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기획재정부는 노동시장에 대한 과도한 규제와 정규직의 과보호를 풀어나가며, 고용노동부를 중심으로 시니어 고용증진을 위한 취업시장 중심의 정책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퇴직 전문 인력의 사회적 재활용을 위한 구조적 시스템을 강화하고, 다양한 분야의 일자리 개발 및 보급 노력 등 강도 높은 정책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경직된 기업의 고용이나 임금체계를 능력, 직무 및 성과 중심으로 전환 유도하기 위한 지원책을 모색하고 고령층의 고용 친화적인 임금체계가 확산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정책을 통해 정년퇴직 후 기업은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고급 노동력을 사용할 수 있고, 퇴직한 시니어들은 적은 임금이라도 안정적인 일자리를 확보함으로써 불안한 은퇴 후 삶을 안정으로 바꿔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를 경제대국으로 올려놓았고 부모와 자식들의 부양에 지쳐가는 베이비부머의 어깨에 지워진 무거운 짐을 조금 덜어줄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과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조일래 (주)한주 공장장·전무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