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하이스코, 삼성종합화학 등 M&A 한파

주력산업의 성장정체로 비틀거리고 있는 울산지역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피인수 합병되는 ‘구조조정’의 한파가 불어닥치고 있다.

미국경제 회복 등 국내외 경제가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부자도시 울산의 기업들은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봄은 왔지만 봄 같지 않다)’과 같은 격변의 시기를 보내고 있는 셈이다.

현대차그룹은 울산에 본사를 둔 현대하이스코를 현대제철로 흡수합병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현대제철이 현대하이스코 지분을 인수한 뒤 존속회사로 남는 흡수합병 방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 경영진은 계열사인 현대제철과 현대하이스코를 합병하는 방안을 다음달 이사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철강경기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제철사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양사의 합병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의 지분구조를 보면 현대하이스코 최대주주는 현대차그룹(현대자동차 29.37%, 기아자동차 15.65%)이며, 정몽구 회장이 10%로 2대 주주다. 현대제철 최대주주는 기아차( 19.78%)이며, 정 회장은 11.84%, 현대차 7.87%, 현대하이스코가 2.29%의 지분을 각각 갖고 있다.

두 회사의 합병이 완료되면  매출액 20조, 영업이익 1조8000억원대의 거대 철강회사가 탄생하게 된다. 지난해 현대제철은 연결기준 매출액 16조7624억원, 영업이익 1조4911억원을. 현대하이스코는 매출 4조2143억원, 영업이익 3516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국내 1위 포스코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65조984억원, 영업이익 3조2135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3분의 1, 영업이익은 절반을 웃도는 수준이지만, 국내 2위 철강회사로서 위치를 확보하게 구축하게 된다.

또 양사가 합병할 경우 현대제철 시가총액은 10조원에 육박해 포스코(22조1890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추격하게 된다.

현대제철의 조강생산능력은 연 2400만t으로 현재 세계 11위며, 현대하이스코 등의 생산능력을 포함하면 총 조강생산능력은 3000만t에 달할 전망이다.

현대제철은 앞서 2013년 말 현대하이스코의 국내 냉연사업부를 인수, 자동차 강판 생산체계를 일원한바 있다. 

합병이 합병이 완료되면 국내 철강업계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양강 구도로 재편되며, 현대제철은 자동차 강판의 국내는 물론 해외 판매처를 직접 거느리게 돼 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영난,  사업 포트폴리오 재조정 등을 이유로 피합병되는 울산지역 기업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울산 본사기업의 피합병 및 본사의 역외이전은   지역 근무 인력과 가족의 이주로 인한 인구유출, 자금의 역외유출, 세수감소, 협력사들의 일감부족과 물류비 증가 등 ‘탈 울산’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를 낳고 있다.

삼성그룹과 한화그룹간 빅딜로 울산에 본사를 두고 있는 삼성종합화학은 한화케미칼에 매각돼 본사가 사라지게 된다

이는 삼성그룹과 한화그룹이 지난해 11월말 석유화학·방위산업 부문인 삼성종합화학, 삼성토탈, 삼성테크윈, 삼성탈레스 등 4개 계열사를 한화그룹에 매각하기로 한 빅딜의 결과다.

이에 따라 지난해  6월1일 글로벌 종합화학회사로의 도약을 위해 삼성종합화학에 흡수합병되면서 삼성종합화학 본사로 탈바꿈한 옛 삼성석유화학 울산공장은 다시 한화케미칼으로 넘어가는 절차를 밟고 있다.

최근 ‘비자금 의혹’을 받고 있는 포스코 그룹도 2010년 울산의 플랜트기자재 전문업체인 성진지오텍을 인수해 2013년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한 뒤 본사를 포항으로 옮겨갔다. 포스코플랜텍은 경영난 악화로 최근 인력의 30%를 감원하는 구조정을 단행중에 있다.

이와함께 포스코 계열 포스코ICT가 지난 2012년 향토기업인 삼창기업의 원전분야(기술 및 인력)을 인수해 설립한 원전 제어계측 회사 포뉴텍(PONUTech)도 본사를  포항으로 옮겨기 위한 절차를 사실상  진행중이다.

이밖에  2012년에는 지역에 본사를 둔 케이피케미칼이 호남석유화학에 피인수 합병돼 울산공장은 생산기지로 전락했다. 또 알짜 향토기업이었던 신한기계, 한텍, DKT 등도 대기업에 인수합병된바 있다.  경상일보 뉴미디어부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