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건물만 옮기는 것이 아니라
이전기관과 지역사회 융합이 중요
서로 협력해 윈윈하는 대안 찾아야

▲ 이재갑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근로복지공단 본부가 서울에서 울산으로 이전해 온지 벌써 1년이 지났다. 공공기관의 울산이전은 거슬러 올라가 보면 2003년 국가 균형발전을 목적으로 발표된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이른다. 전국 10개 지역에 공공기관을 이전하고 인근에 수준 높은 생활환경을 갖춘 혁신도시를 건설한다는 것이었고 발표이후 10여년에 걸쳐 혁신도시 건설과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 이루어졌다.

울산의 경우 에너지 산업군과 노동·복지 기능군을 이전해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를 선도하는 중심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이었고, 이에 따라 울산에 이전해온 공공기관은 울산의 미래 발전계획을 그리는데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게 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당초 비전이 크다 보니 공공기관 이전이 거의 마무리되고 있는 지금 기대에 미치지 못하다는 지역 여론도 일부 있는 듯하다. 가족동반이주가 적어 지역경제에 기여가 적다든지, 지역인재 채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든지 하는 내용의 지역 언론 보도가 있는가 하면 최근에는 혁신도시를 지나는 리무진 버스가 공공기관의 통근버스 운행으로 경영상 어려움이 해소되지 않는다는 문제제기도 있다.

울산시민들의 기대가 컸던 만큼 이전해 온 공공기관들이 지역사회 융화를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하는 것은 분명하나, 갑자기 생활터전을 떠나 울산으로 이전한 직원들의 사정도 지역사회가 어느 정도 이해해 줄 필요가 있다.

근로복지공단의 경우에는 전국 순환근무 때문에 울산에서만 계속 근무하기 어려워 정주를 목적으로 한 가족동반이주가 여의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직원 신규채용의 경우 전국을 권역별로 나누어 채용하다 보니 지역인재 우대에 일정 부분 한계가 있게 된다.

울산시의 대중교통도 혁신도시와 시내를 연결하는 교통편이 없는 등 공공기관 직원들의 교통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문화, 의료, 교육 등 정주여건이 충분치 않은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해소돼 나갈 것으로 믿는다. 지난 1년을 돌이켜보면 많은 개선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무엇이 부족하냐가 아니라 이전기관과 지역사회가 한 가족이 되었느냐 하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전기관은 울산의 종갓집 중구에 새 며느리로 들어왔고, 지역사회는 새 가족을 맞이한 것과 같다. 따라서 이전기관은 지역사회의 문화를 이해하고 융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지역사회는 공공기관을 한 가족으로 맞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근로복지공단은 지역사회와 소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벽화 그리기, 급식봉사, 농촌일손 돕기 등 다양한 사회공헌을 통해 지역사회와 ‘더 가까이’ 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더 멀리’ 보고 미래세대인 청소년들이 꿈을 키우며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교육지원활동을 하고 있다.

지역인재 채용 확대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의 주목적인 국가 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근로복지공단은 올해 지역 우선채용 목표를 작년의 3%에서 6%로 두 배 높게 설정하고 지역가산점(5점)을 부여할 계획이다. 그러나 관건은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인재확보 여부이므로 지역사회에서도 대학 육성과 함께 이전기관들이 요구하는 특성화 인재를 양성하고 연구도 활성화해야 한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단순히 건물이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옮긴 것이 아니라 이전기관과 지역사회가 한 가족이 되고 국가 균형발전을 이루는 촉매제가 돼야 한다. 울산의 도시역량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전기관과 지역사회가 서로 협력해 합리적인 대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

이재갑 근로복지공단 이사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