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형욱 경제부 차장

중국 산둥(山東)성의 한 화학공장에서 지난 22일 대형 폭발사고가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최소 9명이 다쳤다. 앞서 지난 12일 소방관만 100명 이상이 희생되고, 121명 이상이 사망한 중국 톈진(天津)항의 대형 폭발사고가 수습되기도 전에 발생한 사고로, 중국 내 산업안전 규제의 실효성, 안전 불감증 등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자연스럽게 ‘울산은?’ 이라는 물음표를 떠올리게 된다. 액체화물이 밀집돼 있는 울산항, 원자력발전소, 대규모 석유화학공장 등 위험물질이 산재해 있으면서 사고가 끊이지 않는 울산의 현실 때문이다.

1187개 업체가 가동중인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와 온산국가산단에서는 지난 2012년 43건의 화재·폭발·안전사고가 발생, 2명이 숨지고 15명이 부상을 입었다. 2013년 51건이 발생해 3명이 숨지고 20명이 다쳤다. 2014년에는 69건이 발생, 5명이 숨지고 43명이 다쳤다. 3년간 피해액도 20억원이 넘는다. 또 국가산단내 전체 지하배관 중 송유관과 화학관, 가스관이 2709㎞로 57%를 차지하고, 이 가운데 272㎞는 1990년 이전에 설치된 노후 시설물이다. 특히 석화단지는 전국 화학단지 면적의 53%를 차지하고, 저장액체 위험물의 49.6%, 유통화학물질의 30%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전국 최대규모다.

울산항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전체 화물의 80% 이상이 위험액체화물이다. 톈진항 폭발사고의 원인이었던 위험물 컨테이너의 비중이 0.035%에 불과하고, 화약류나 방사성 물질, 병원성 물질 취급이 제한되고 있지만 위험성은 석유화학단지에 비해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게 대체적 인식이다. 상당량의 화학물질과 원유 등이 해상운송을 통해 육상저장조로 옮겨지면서 대규모 폭발사고의 위험은 항상 존재한다. 실제로 올해 초 울산항에서 혼산(황산과 질산 혼합물)을 하역하던 화학물질 운반선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울산항은 특히 국내 최대의 수출입 항만 중 하나여서 대규모 폭발사고나 유류 누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수출입 물류 대란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현재는 동북아 오일허브 울산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울산에서의 대규모 폭발사고가 국가 대재앙 수준의 사고로 번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통계에서 보듯이 울산의 폭발사고는 좀체 근절되지 않고 있다.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구조적 문제도 있을 수 있고, 또 사람이 하는 일에 실수가 전혀 없을 수는 없지 않느냐고 항변할 수 있다. 하지만 인재성 사고가 연례행사처럼 되풀이 되고 있음은 분명 문제가 있다. 부주의가 전체 사고의 70~80% 이상이라는 안전당국의 발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사고가 나면 인재 논란이 재연되고, 재발을 방지하겠다며 각종 대책이 쏟아져 나오고 삼중사중의 점검이 진행된다.

하지만 그때 뿐이다. 최근의 잇따른 중국 폭발사고를 보면서 ‘우리는 또 어떻게 하고 있지’ 하는 생각을 자연스레 하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사고는 설마하는 방심 속에 예고없이 찾아온다는 것이다. 사고없는 울산은 철저한 대비 속에서 가능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새기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신형욱 경제부 차장 shin@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