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석복 사회부 부장

신불산 케이블카 설치 추진은 지난 2001년부터 시작됐다. 민간개발로 추진되면서 실패를 거듭하다가 2013년부터 울산시와 울주군이 공공개발사업으로 추진, 영남알프스 관광개발의 핵심사업으로 부각됐다. 하지만 환경단체들과 통도사의 반대로 10년을 훌쩍 넘긴 지금도 제대로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모적 찬반 논쟁을 거듭한 탓이다. 하지만 이제는 어떤 형태로든 결론을 내려야할 때가 됐다. 그래서 울산시민들의 전반적인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를 개최하자는 제안을 해본다.

지난 28일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가 우여곡절끝에 국립공원위원회 승인을 받았다. 전제조건이 있지만 사업추진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게 됐다. 설악산국립공원 정상인 대청봉에서 약 1.4㎞ 떨어진 곳까지 운행하는 케이블카가 이르면 오는 2018년 2월부터 운행에 들어간다. 설악산에 케이블카가 설치되는 것은 1970년 강원 속초시 설악동과 설악산 권금성을 잇는 케이블카에 이어 48년만이다.

국립공원의 백두대간 핵심구역인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의 승인은 전국 10여개 지자체가 오매불망 기다리던 결과다. 그동안 백두대간·정맥에 대한 환경평가 가이드라인이 발목을 잡으면서 사업 속도를 내지 못했던 탓이다. 울산도 그중 한 곳이다. 지자체들이 경쟁적으로 케이블카 설치를 서두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울산 신불산 케이블카는 낙동정맥의 핵심구역에 포함돼 있다. 설악산에 비하면 몇 단계 낮은 상황이어서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어떤 형태로 대처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울산은 영남알프스라는 산악관광자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 대한 이견은 없다. 하지만 신불산 케이블카 설치를 두고 찬반의 힘겨루기를 하면서 전반적인 여론의 일치를 이뤄내지 못했다. 환경단체들과 통도사의 반대 목소리와 서울주발전협의회 등의 찬성 목소리가 뒤섞여 제대로된 여론이 만들어지지 않았다. 전국 지자체들이 앞다퉈 케이블카를 추진하는 상황이라면 울산도 제대로된 공감대 형성이 시급한 과제다.

영남알프스 행복 케이블카 설치 범시민추진위원회가 이번 주(9월1일)에 발족한다. 울산상공회의소를 비롯해 울산관광협회, 대한노인회울산연합회, 울산장애인총연합회 등 150여개 단체가 참여한다. 그동안 환경단체 등의 반대로 인해 낙동강유역환경청이 환경영향평가에 소극적으로 나선데 따른 울산지역 민심을 전하고 범시민 분위기 확산에 나선다. 100만명 서명운동도 벌인다고 한다. 반대측은 얼마전 신불산 케이블카 반대 등반대회를 개최했다. 범시민추진위가 발족하면 여론의 반전을 위해 또 다시 행사를 마련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찬반 세몰이만 거듭될 것이다. 찬반 여론전이 거듭되면 낙동강유역환경청은 그 것을 빌미로 또 다시 지연작전을 펼 수 있다.

설악산 케이블카 승인을 계기로 찬반을 주장하는 양측 모두가 다시한번 생각을 해봐야 한다. 자기 주장만 거듭 되풀이할 것이 아니라 공청회를 계기로 여론의 추이와 필요성, 관광 인프라 차원에서 정말로 필요한 시설인지 여부 등을 재점검해야 한다. 그래서 추진이든 백지화든 결론을 내리면 수긍해야 한다.

최석복 사회부 부장 csb7365@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