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중기자 정치경제팀

당연한 주장을 하려한다. 세비받는 광역시의원이라면 누구나 의무감을 갖고 시민의 대표로 왕성한 의정활동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게 울산의 미래 도시경쟁력과 연관되는 굵직굵직한 대형사업이 아닌 단순한 지역구의 사소한 민원일지라도 사명감을 갖고 그렇게 해야 한다. 6대 울산시의회가 출범한지 내달이면 1년6개월이 된다.

의정활동에서 가장 눈에띄는 대목은 ‘특별위원회’다. 6대 의회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시작으로 원전특별위원회, 규제개혁특별위원회를 잇따라 만들었다. 1대에서 5대를 이어오면서 가장 단기간에, 가장 많은 특위를 구성한 것이다. 대다수 시의원들의 명함에는 ‘특위 위원’ 문구가 새겨져 있는 셈이다.

이런 과정에서 시의회가 최근 임기가 끝난 원전특위를 2016년 6월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특위는 원전안전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원전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사업 지연에 따른 활동 필요성을 그 이유로 들었다. 특위 연장에 대해 의회 내부에서 “회의에 참석하는 인원도 들쭉날쭉인데…” “앞으로 할 일이 뭐 있다고…”라는 회의적인 시각이 나돌아 의원간 냉랭한 분위기도 감지됐다. 어찌됐던 특위를 연장하기로 한 만큼 보다 효율성을 높이는데 모든 위원들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

앞으로 활동에 나설 제2기 원전특위에 한마디 거들어 본다. 향후 특위활동 계획을 세부적으로 공개하고 시민 참여를 통해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원전안전 문제를 좀더 시민들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함께 해결책을 찾는 것이 어떨까. 그리고 특위가 앞장서 한수원, 울산시와 함께 업무협약이나 정기적인 간담회 등을 추진해 원전안전부터 지역 원전산업 육성, 원전전문 인력육성 등에 머리를 맞대보는 것은 또 어떨까.

활동기간에 연연하지 말고 원전안전, 원전산업, 원전해체기술센터 등에서 울산시의회 원전특위가 지역의 구심점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 그래야만 특위가 이름값 좀 했다는 얘기를 듣지 않을까. 2기 원전특위는 향후 8개월동안 활동한다. 단기간에 성과에 집착하다보면 알맹이 없는 활동에 그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될 부분이다. 제대로된 특위 활동을 기대해 본다.

이형중 정치경제팀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