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을 맞이하여 벽에 걸려 있는 달력을 살펴보았다. 5일 어린이날, 8일 어버이날, 15일 스승의날, 21일 성년의 날 등이 눈에 들어왔다. 오월은 가정의 달이라고도 한다. 그냥 지나쳐 버리기에는 개인·가정·사회·국가적으로 갖는 의미가 상당함에 틀림없다. 그런데 문득 시시한 의문이 하나 떠올랐다.  5일 어린이날이라고 하여 그 하루만이 어린이의 날이 아니며, 8일이 어버이 날이라고 하여 그 하루만이 어버이날이 아니며, 일년 열두달 어느 한 달이라도 가정을 소홀하게 대할 수 없건만 특별히 5월을 가정의 달이라 정하고 해마다 그 날이되면 기념식을 치르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왜일까?  5월 5일 태화교 아래 넓은 마당에서는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어린이 민속 큰잔치가 열렸다. 아빠 엄마 손을 잡고 모인 아이들은 컴퓨터 게임이 없어도, 인터넷을 통해 여기 저기 돌아다니지 않아도 이렇게 즐거울 수 있는 놀이들이 있음을 알았다. 요즘의 컴퓨터 세대뿐 아니라 부모세대에게 조차 잊혀졌던 민속 전래 놀이들이 결코 시시하고 재미없는 놀이가 아님을 경험하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그런데 가족의 구성원이 서너 명을 넘지 않는 요즘의 가정에서는 놀이를 하더라도 몇 명씩 모여서 서로 재미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홀로 하는 게임에 익숙해져 있는 것같다. 민속놀이 마당에는 여러 종류의 마당이 있는데 그 중에서 긴줄 넘기라는 놀이가 있다. 두사람이 양쪽에서 긴 줄을 돌리면 5~6명이 가운데서 노래를 부르면서 긴 줄을 넘는 것이다. 이 놀이는 특히 여러명이 하기 때문에 여러 몸이 한 몸이 되고여러 마음이 한 마음이 되어야 긴 줄을 뛰어넘을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홀로 하는 놀이에 몸과 마음이 길들여진 아이들에게는 퍽 어려운 놀이임이 사실이다. 그 때문인지 긴줄 넘기 마당에서 그 동안 볼 수 없었던 낯설은 장면을 목격하였다.  긴줄 넘기를 하기 위해 다른 놀이마당보다 유달리 길게 늘어서 있는 줄을 보고는 기쁜 마음에 가까이 가 보았다. 그런데 그곳에서는 여러 명이 한몸 한마음이 되어 뛰어야 할 아이들이 한 사람씩 긴줄 넘기를 하고 있는 것이었다. 물어 보지 않아도 그 상황을 이해할 수 있었지만 바로 이것이 우리 아이들의 놀이 문화의 현주소임을 알고는 씁쓸한 기분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혼자 하는 것이 편하다는 생각, 여러 명이 함께하는것에는 복잡하고, 귀찮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어렵다고 하는 그러한 생각이 바로 이러한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 아니겠는가? 민속놀이조차도 그 형식과 내용을 바꿔버리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정신을 위대하다고 해야 할까?  그런데 이러한 생각이 바로 어린이들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어른들에게서 전염된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요즘 아이들의 대부분이 개인주의, 이기주의, 물질우선주의에 물들었다고 하지만 그 근원을 찾는다면 바로 어른들의 모습에서 비롯되며, 그 가르치고 배우는 장은 다름 아닌 가정이 아닐까? 그러므로 우리의 아이들을 인류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 키워 나가는데 가장 중요한 가르침은 부모들의말과 행동이며 가장 중요한 교육기관은 가정이라 할 것이다.  날마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스승의 날 아님이 없고 일년 열두달 가정의 달 아님이없건만 이렇게 기념하여 그 의미들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것은 그 은혜로움을 깨닫게하고 보은하는 삶을 가르치기 위한 자상한 배려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