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갑성 사회문화팀 차장

경남 양산시 원도심의 상권이 여전히 침체 속에 허덕이고 있다. 신도시가 들어서기 전 지난 날의 번영은 먼 옛날 이야기로 경기침체와 인구유출이 겹치면서 원도심 전체가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계속되는 소비부진이 원도심 상권을 쇄락의 길로 치닫게 하고 있는 것이다. 애타게 도움을 호소하는 상인들의 목소리도 경기부진에 묻히고 있다.

양산시 중앙동 옛 양산시외버스터미널 인근 상가 건물들의 경우 상당수 비어 있다. 양산 원도심의 대표적 상권이었던 중앙동 삼일로 일대 상가는 지난 2005년까지만 해도 양산지역의 대표 번화가로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2007년 5월 양산시외버스터미널이 신도시로 이전한 데다 이후 신도시 상권이 급격히 확장되면서 상대적으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주변 상인과 부동산 업계는 삼일로 일대 700여개 점포 중 200개 이상이 폐업이나 휴업으로 문을 닫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영업 중인 업소도 매출이 종전보다 절반가량 뚝 떨어진 데다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 앞날을 예측할 수없는 실정이다. 문제는 빈 점포에 들어올 사람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임대료가 높은 데다 상권이 회복될 조짐이 없어 입점을 꺼리기 때문이다.

양산시도 이같은 현실을 반영, 애초 민간에 매각한 옛 양산시외버스터미널에 대규모 복합 쇼핑몰을 건립하고 특화된 상권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 중앙동은 쇼핑과 교육 및 행정·업무 중심 도시, 삼성동은 역사·문화 중심도시, 강서동은 전통·관광 중심도시로 특화해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 공모사업에서 탈락하면서 특화 사업은 예산 등의 문제에 발목이 잡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옛 터미널 복합 쇼핑몰 건립 역시 건물주가 수익성과 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수년째 이행하지 않는 등 난항을 겪고 있다. 이 터미널은 애초 양산시가 원도심 상권 활성화 관련 시설 건립을 염두에 두고 건물 용도까지 바꿔 매각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했으나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양산시는 기존에 수립한 대책의 수정 방안을 검토하는 등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단순히 시설물을 건립하는 등의 물리적 방법이 아닌 상인 등이 참여한 공동체를 결성, 민·관 합작 방식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와 함게 ‘양산 원도심 상권 활성화 추진위원회’ 류인철 위원장이 제시하는 원도심 활성화 대책도 눈여겨 볼 만한 방법이다. 그는 가장 우선순위로 젊은 층 유입 방안을 꼽고 있다. 지갑을 잘 여는 젊은이가 원도심에 많이 거주해야 지역에 활력이 생기고 상권도 살아난다고 보고 있다. 지금 원도심 인구 중 60% 이상이 노인이다. 그는 젊은 층 유입을 위해 원도심 곳곳에 문화광장을 조성하고 재개발 사업 등으로 원도심에 아파트를 많이 지어 젊은 층이 입주하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의미심장한 대안으로 평가된다.

양산 원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한 ‘해법’ 도출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제인 것은 분명하지만 마냥 손놓고 팽겨쳐 놓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민·관이 함께 나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해법’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김갑성 사회문화팀 차장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