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과 객사의 공존 바람직
시민과 각계각층 여론 수렴해야

▲ 한봉희 중앙길(문화의거리)상가상인회장

지난해 7월 중구 장춘로 일원 옛 울산초등학교 부지에서 객사 터가 발굴되었다. 이곳은 울산시립미술관이 건립될 부지로, 문화재청 매장문화재 분과위원회에서는 객사 터 옆에 미술관 건물과 울산 객사가 공존하는 형태로 미술관을 배치하는 계획안을 심의해 가결시켰다. 이에 따라 시립미술관은 2018년 개관을 목표로 설계 공모를 통해 그해 11월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미술관 건립이 꼬이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2개월 후 울산시장의 객사 복원과 이전에 대한 회견 발표 이후 행정과 관련된 일부 거수기 위원들은 원도심 이전 방향으로 대안 제시 없이 반대를 위한 반대로 조직적으로 일관하고 있다.

7~8년 전부터 시립미술관 원도심 유치를 통해 원도심의 재생과 상권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 온 시민단체와 상인회는 즉각 전국에 산재한 객사 실태와 관광의 효과, 상권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련 담당자와 주변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했지만 결과는 부정적이다. 그럼에도 원도심을 사랑하는 건축 전문가, 교수, 문화예술인들의 의견은 아주 진지하고 흥미로웠다.

미술관과 객사의 공존, 객사 유구의 이전, 문화재 보존방법 등의 선진사례를 제시하며 현대와 역사와 과정의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이 있는 미술관을 제시한 것이다. 시민단체와 상인회는 미술관과 객사 공존을 바탕으로 해당 부지의 효율적 활용을 목표로 문화재청과의 협상안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제안하고, 정치권과 시민 공조 운동을 병행했다.

그 활동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객사를 복원해 일부 내부시설을 미술관 갤러리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둘째, 객사와 관련된 일부 유구를 서쪽으로 조금씩 이동 복원해 부족하다고 주장하는 미술관 부지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셋째, 선진국의 성공한 사례와 같이 객사 유구 그 자체를 강화유리로 보존하고 그 공간 상단에 현대식 건축미를 살려 현대와 고전이 함께하는 실용의 미술관을 짓자는 것이다.

그러나 시 담당자의 문화재청 대응은 한 번으로 포기했고, 제시한 부서도 매장문화재 담당부서가 아닌 문화재 발굴제도과에 형식적 질의응답 정도에 그쳤다. 이후 주민과의 설명회란 형식으로 만든 검토 방향은 엉뚱한 내용으로 11개 부지를 제시하며 미술관 부지 이전의 당위성만을 목표로 비용 증가, 전문업체 여부, 법적 문제 등을 거론하며 주민 여론을 갈라놓는데 치중했다.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자문위원회 결과나 구성원의 명단 요구도 공공기관의 관련정보에 관한 법률을 내세우며 시장의 면담 요청도, 토론회 개최 요구도 무시하고 문화재청 협상안도 수용하지 않았다.

미술관 이전을 찬성하는 몇몇 위원들은 울산의 새로운 문화 권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들은 시나 교육청, 구·군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으며 어려움 없는 활동으로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있다. 그러면서 중구청의 문화예술인들에 대한 지원정책, 임대료, 전시공간, 간판 설치 지원 등을 언론을 통해 과감하게 비판한다. 그리고 원도심의 문예부흥과 상권 활성화라는 이유로 원도심의 미술관 유치는 맞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한다. 미술관 문제는 전문가에게 맡기라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 과연 전문가가 누구인가? 새로운 문화 권력을 암시하는 것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미술관 건립에는 미술평론가만이 아닌 건축, 도시계획, 문화재 관계자를 비롯한 이용 수요자인 시민의 의견과 참여도 중요하다.

상인회원 중 문화의거리에서 활동하는 예술인들의 삶은 불안하고 피곤하다. 오직 미술관 유치만을 기대하며 기존의 거주지를 조기 정리하고 이곳에 입주해 창작 활동에만 전념하고 있다, 작품의 매매도 거의 없다. 오로지 평생교육을 원하는 시민들에 강의비로 생계를 유지하는 분이 대부분이다. 함부로 백년대계니, 국제적 운운하며 부지가 좁다느니 주차장 면적이 없다며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염원에 상처를 주면 안 된다.

한봉희 중앙길(문화의거리)상가상인회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