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3 해양플랜트 7조원대 손실로...삼성重·대우조선 합병설 떠올라

정치권도 기업구조조정 찬성 주목

▲ 조선업종이 사상 최악의 부진을 보이고 있는데다 국내에 세계적인 조선업체 3개나 있는 것은 과잉이라는 주장에 따라 기업인수·합병(M&A)을 통한 통폐합론이 일고 있다. 사진은 현대중공업 야드 전경. 경상일보 자료사진
저유가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해양플랜트부문 천문학적 적자로 사상최악의 실적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국내 조선업계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넘어 조선 빅3를 통폐합 해야한다는 합병설이 끊이지 않고 있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대형3사는 지난 20여년간 세계 선박시장의 70%가량 점유하며 세계 조선시장을 선도해 왔다. 그러나 선박수주는 끊기고 해양플랜트 악재가 지속되면서 이들 조선업종은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지난해 대우조선해양 5조551억원, 현대중공업 1조5401억원, 삼성중공업이 1조5019억원 등 조선 빅3는 총 8조5000억여원 규모의 사상 최대적자를 냈다. 빅3의 총 8조원대 적자 가운데 해양플랜트 손실만 7조원대에 달한다.

문제는 올 들어서도 이같은 최악의 국면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1분기 조선 빅3의 수주는 단 3척에 불과했다. 과거 분기당 많게는 40~50척씩 수주가 몰려 초호황을 누리던 때와는 천양지차다.

조선업종은 선박과 해양설비를 수주해야 수만명의 일거리가 생긴다. 이 때문에 이미 수주받은 선박의 인도가 끝나면 일거리가 끊겨 수만명이 길거리로 내몰릴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않다. 실제 조선업계는 최악의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지금의 인력이 5~6년전 초호황기때보다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조선업의 업황이 개선될 조짐이 보이자 않자 일부에서는 조선 빅3를 통폐합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국내에 세계적인 수준의 조선업체가 3개나 있는 것은 ‘과잉’이라는 주장과 함께 이번 기회에 기업간 인수·합병(M&A)을 통해 비핵심부문을 배제하고 경쟁력있는 부문에 집중하는 군살빼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합병하는 가상 시나리오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두 회사 모두 경남 거제시에 위치하고 있어 지리적으로 가깝고 불필요한 자원의 이동과 분산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회사는 주력사업인 드릴십(석유시추선),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설비(FLNG) 등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출혈경쟁이 심해 중복투자를 해소하면 경영효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논리다.

특히 대우조선은 산업은행이 49.74%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인데다 언젠가는 민간에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정부가 기업구조조정을 단행할 경우 선도적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다.

여기에 4·13총선에서 제1당에 등극한 더불어민주당이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에 반대했던 그동안의 기조에서 벗어나 기업구조조정에 조건부 찬성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도 구조조정 가능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정치권에서도 “대기업이라도 도산 위기라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을 만들어 구조조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쪽으로 공감대가 모아지고 있다. 추성태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