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구노력·지자체 지원 절실

 

현대중공업과 조선업의 위기는 울산의 위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3대 주력산업의 한 축으로서 지역산업 및 경제전반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파급효과가 매우 높다. 지역사회와 전문가들은 정부와 지자체의 세제 감면 또는 긴급자금 지원 등 지원책을 통한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현대중공업 스스로 자구노력과 함께 경쟁력 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시민 네명 중 한명 직간접 연결
최근 2년간 지방세 800억 납부
구조조정 여파 최소화 위해
협력업체 세제 감면 등 절실

◇수출액 26%·종사자수 28%

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 포함)을 중심으로 한 조선산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막대하다.

울산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지역 조선해양업종의 생산액은 21조5906억원으로 울산 전체 제조업 생산액(209조2805억원)의 10.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수출액은 선박 117억달러와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123억달러 등 240억달러로 25.9%를 차지했는데, 지난해는 인도선박 증가와 석유·석유화학업종 부진으로 수출액 비중이 37%로 확대됐다.

사업체수도 317개로 18%를 차지했고, 종사자수는 4만6558명으로 28%에 이른다. 가족을 3명씩만 잡으면 14만명에 이르고 연관산업 종사자수를 합하면 30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울산시민 4명 중 1명은 현대중공업과 직·간접 연관돼 있는 셈이다.

본사를 울산에 둔 가장 큰 대기업으로서 법인세, 지방세 납부액도 월등하다. 최근 몇년간 적자로 법인세를 내지않았지만 호황을 누리던 2012년 3248억원 등 매년 수천억원의 법인세를 납부해왔다. 지방세도 2014년 417억원, 2015년 446억원을 지자체에 납부해왔다.

◇구조조정 피해 최소화

조선업이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전문가들은 구조조정에 따른 여파를 최소화하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창형 울산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는 구조조정이 비정규직이나 파견근로자에 집중되지 않도록 노사지도를 강화하고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위한 관련법 통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면서 “또한 지자체는 정부와 협력해 구조조정으로 피해를 입은 업체에 대한 세제 감면 및 긴급구제 자금 지원을 통해 구조조정 여파가 지역산업 전반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고용노동부, 산업인력공단 등과 협력해 구조조정 과정에서 배출되는 인력의 재취업을 지원하고 퇴출인력에 대한 직업전환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함께 서비스산업의 확충 및 육성을 통해 제조업 부문에서 퇴출되는 인력을 점차적으로 서비스산업 부문으로 재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울산시도 조선업 위기타개를 위해 팔을 걷어부쳤다. 시 관계자는 “울산의 주력산업인 조선산업의 재활을 총력지원키로 했다”며 “이를 위해 중소기업 경영자금을 당초 5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증액해 업체당 1억원에서 2억원으로 상향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