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원 시민학사과정 개설
시민학습 체계화·교육자치 확립

▲ 신기왕 울산발전연구원 평생교육진흥원 센터장

울산시의 인구는 지난해 11월 120만명을 돌파한 이후 지난 5개월간 연속 감소됐다. 조선업 침체에 따른 외국인 산업인력의 탈 울산과 교육, 직업적 요인 등이 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주여건 개선과 일자리 창출 등이 인구 유입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있는 대책 수립을 위한 모두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울산으로의 인구 유입 해법 중 하나로 명문대학을 유치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명문대학 유치는 창조적 인재 유입뿐 아니라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산업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부분의 창조도시에서 대학이 그 바탕이 되고 있듯 명문대학 유치는 창조도시로 도약하고자 하는 울산의 든든한 토양이 될 것이라는 데에 반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지만 명문대학을 유치하는 방안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학령기 인구의 감소와 대학의 구조조정이 국정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금의 사정을 감안한다면 아무래도 실효성이 떨어지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은 과거와 달리 교육의 전부가 아닌 부분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지식의 빠른 발전 속도를 정형화된 학교교육 시스템이 담아내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교육을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권리라는 생각이 점차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명문대학의 강의를 온라인상에 개방하는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 운동이나 대안학교, 홈스쿨링 같은 여러 형태의 대안적 학교가 등장하는 것도 그 일면이라고 할 수 있다. OECD는 2001년 정책 보고서에서 학교붕괴 시나리오를 제시한 바가 있다.

학교교육이 정치 의제에서 우선순위에 있고 국가가 기준을 확립하는 것에서 점차 경쟁 확대를 촉진하는 방향으로의 새로운 시장 모형 접근이 이루어지며 이후 고착된 교육과정 구조가 쇠퇴하고 비형식적 학습과 네트워크 사회 반영한 학습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궁극적으로는 교강사의 엑소더스, 학교 붕괴로 이어지고 중앙으로부터 지역의 교육 자치권이 확대되어 갈 것으로 전망했다. 시나리오는 그동안의 정규대학 양적 성장과 최근 일고 있는 대학 구조조정의 현실과 닮아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명문대학 유치에 집중하고 투자하기보다는 시민학습을 체계화하고 지역의 교육자치를 확립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이달 초 울산평생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시민학사과정이 시작됐다. 시민학사과정은 울산이 타 도시에 비해서 대학이 많지 않기에 특히 수준높은 인문교육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된 과정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울산에서 필요한 지식을 울산에서 생산-유통-소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다. 물론 시민학사 과정은 중앙부처의 승인을 받은 과정도 아니고 국가에서 제시한 구조화된 교육과정도 아닌 시민과 지역의 필요에 의해서 조직되고 운영되는 과정이다. 시민학사라는 명명도 일반적인 정규학교의 학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징적인 의미로 쓰이는 것이다.

현재의 시민학사 과정은 시민학습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파일럿 테스트적인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시민학사 과정의 중요한 또 다른 의미는 이것이 시민대학과 시민학사에 대한 검토를 시작하는 출발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시민학사에 대한 범위, 내용, 운영 등에 대한 제도적, 행정적 문제를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시민학습에 대한 사적 영역과 공공적 영역, 시장성과 공익성에 대한 검토, 시민학사의 제도화가 공론화의 핵심적인 내용이 될 것이다.

울산 시민학사를 통해 울산에서 필요한 지식을 울산 안에서 생산-유통-소비하는 지식의 선순환체제가 만들어진다면 명문대학 유치 이상의 인구유입과 탈 울산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기왕 울산발전연구원 평생교육진흥원 센터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