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지원과 함께 지역인재 발탁도
울산 ‘소외감 해소’ 등 여론 환기시켜
국정운영에 울산인재 참여 현실화 되길

▲ 김두수 서울 본부장

박근혜 대통령이 울산 십리대숲으로 ‘깜짝휴가’(7월28일)를 다녀간뒤 울산을 찾는 사람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지역 경제가 추락하고, 수출이 반토막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여름휴가가 지역경제 회생에 힘을 주는 것 같아 반갑기 그지 없다. 박 대통령의 울산휴가는 그만큼 산업수도 울산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확인시켜주는 부분이다. 1962년 출발한 산업수도 울산은 포항제철, 구미 전자공단, 창원기계공단, 여수산단등과 함께 국내 5개주요 산업단지 가운데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 5개 산단 모두 박정희 대통령의 작품이다. 특히 울산은 자동차·조선·화학등 3대 주력산업을 동력으로 재원을 창출, 국가경제에도 효자역할을 해왔다.

그런데도 울산은 지난 2008년 출범한 이명박 정부 5년에 이어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에 이르기까지 최근 8년동안 장관 한사람 발탁된 적이 없다.

물론 MB정부 당시 이채필 고용노동부장관이 있다. 하지만 이 장관은 지역안배를 고려한 정무적 발탁이 아닌 평생 노동부에서 근무, 차관에 이어 자연스레 기회가 주어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시쳇말로 대통령의 정무적 판단에 따라 ‘울산챙기기’ 차원은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대통령이 인사를 단행하면서 적합성과 전문성 도덕성 등을 도외시한 채 전국 17개시도별 지역안배를 고려하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산업수도 울산의 경우는 달리 판단해야 한다는 주문도 많다.

경제적 측면의 생산성과 함께 ‘울산 소외감’이라는 관점에서 지역 여론도 매우 중요하다. 추락하는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선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중요하지만 인재발탁을 통해 여론을 환기시키는 한편 박근혜 정부에 대한 기대감도 불어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현실에서 박근혜 정부가 울산지역 인사의 국무위원 발탁에 소극적인 이면엔 혹여라도 ‘장관 후보자격’을 갖춘 인사가 상대적으로 빈약하기 때문인지 다시 한번 더듬어 본다.

지역 정치권을 보면 새누리당은 지난 19대 국회땐 6명의 현역이 의정활동을 한 반면 20대 국회에선 4명으로 줄었다. 여기에서도 정치색깔과 관련된 이른바 정체성, 박근혜 정부에 동력을 줄수 있는 의원을 꼽으라면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현역의원 가운데 정갑윤(중) 전 국회부의장과 재선에 성공한 박맹우(남을) 의원의 경우엔 평가가 다르다고 할수 있다. 물론 이들 두 의원이 ‘친박핵심’이라는 현실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정 전 부의장은 내리 5선 의정활동 기간동안 산전수전을 모두 겪은 ‘백전노장’에다 박근혜 정부의 국정에도 탄력을 받을 수 있는 동력이 실려 있다는 평가다. 국회의원 이전엔 경남도의원으로 풀뿌리 자치정신도 겸비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내리 3선시장을 역임한 박 의원은 소위 행정의 달인으로 지방행정은 물론 중앙정부에서의 역할에 충분히 감당할만 하다는 평가가 많다. 또 이들 두 의원 외에도 입체적으로 스크린하게 될 경우 지역인재는 부족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박근혜 정부의 임기가 1년6개월 남았다. 만일 개각을 단행한다해도 그 시점과 폭은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다. 향후 국정운영의 상황과 변수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통령의 임기와 내년 대선가도 등에 맞물려 지역인재의 발탁여지는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 울산으로선 다급한 상황이 아닐수 없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체제의 출범을 계기로 당청이 상생의 관계로 급류를 타고 있다. 빠르면 주말 또는 늦으면 다음주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설이 청와대와 여권주변에서 흘러나오고 있다. 5일간의 짧은 하계휴가에도 예고없이 ‘깜짝휴가’를 다녀갈 정도로 울산에 특별한 애정을 갖고 있는 박 대통령이 개각을 앞두고 ‘특단의 울산챙기기’가 현실화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두수 서울 본부장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