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라이프대학 설립 신중해야
학위 남발은 청년실업만 가중

▲ 김춘생 전 울산시의회 부의장

정부가 2017년도부터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인 평생교육 단과대학인 미래라이프 대학의 설립을 원하는 대학을 공모한 결과 전국에 10개의 대학이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이화여대가 정부가 주도한 미래라이프대학의 설립에 참여한 사실을 인지한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이 졸업장 반납운동을 병행하며 시위를 벌인 결과 학교 측이 미래라이프 대학의 설립에 불참하는 쪽으로 결론이 난 것 같다.

이화여대 재학생들과 졸업생들이 정부가 주도한 미래라이프대학의 설립을 반대한 가장 큰 이유는 학생들의 질적 저하로 인해 학교의 평판이 낮아진다는 것이 가장 주된 이유다. 지금 우리사회에 일자리는 넘치는데 중소기업들이 인력난에 허덕이는 현상은 대졸자들이 중소기업의 취업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에 초래되는 현상이다. 우리나라 일자리의 12%는 대기업이 수용하며 나머지 88%는 중소기업이 제공하는데 중소기업의 임금은 대기업의 60% 가량이며 비정규직은 정규직원 임금의 절반가량을 받는 것이 현재의 실상이다 보니 청년실업자의 절반 이상이 취업을 포기하고 공무원시험에 매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가 2017년부터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단과대학을 설립해 학위를 인정한다고 할지라도 그 학위가 일반대학들이 취득한 학위와 동등한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착각이며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돈과 시간을 낭비했다는 사실을 알기까지는 결코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사람이면 다 사람이냐 사람다워야 사람이지’란 격언이 있듯이 우리나라 대학의 분류는 스카이대로부터 시작돼 지졸대(지방대출신지칭)로 끝나는 현실을 고려하면 미래라이프 대학의 학위가 어떤 대접을 받을지는 쉽게 상상되리라 생각된다.

교육의 본질은 진리의 탐구와 인재양성에 있지만 정작 학생들이 원하는 것은 학교졸업 후에 취직걱정을 하지 않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장을 구하는 일이다. 따라서 올바른 교육이란 우리사회가 필요로 하는 적재적소에 알맞은 인력을 공급하는 맞춤방식의 교육정책이 청년실업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제도가 아닐까 생각한다.

현재 많은 대학들이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문화 예술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다양한 교양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권장할 수 있을 만큼 아주 바람직한 교육방식이다. 그러나 지금도 넘치는 대학생들을 수용할 일자리가 없는데 함양미달의 대학졸업장을 남발하는 정책은 지양돼야 할 사항이다. 대학학위가 기회의 균등성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지만 기회균등이 자질과 실력의 동등함을 인증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가 세계 1위를 차지하는 것 중에서 다른 나라들의 추격이 불가능한 분야가 바로 80%에 육박하는 대학진학률이 아닐까 생각되지만 2016년도 세계 100대 대학에 우리나라 대학이 없다는 것은 교육의 질을 외면한 당국의 교육정책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따라서 교육의 질을 외면한 채 외형 늘리기에 급급한 채 직장인을 상대로 한 미래대학의 설립은 필요하지도 않은 안목만 키울 뿐 국가와 개인 모두에게 실망을 안기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미래대학의 설립은 지금이라도 취하하는게 바람직한 일이 아닐까 생각된다. 화장실의 휴지로도 사용할 수 없는 학위 남발은 청년실업을 가중시키고 중소기업의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지렛대 역할을 하게 될 것이 뻔히 보이기 때문이다.

김춘생 전 울산시의회 부의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