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원전에 둘러싸여 있다. 오랫동안 원전에서 큰 사고가 발생한 적이 없기 때문에 원전 안전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는 하지만 지진이 계속되자 시민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원전은 6.5~7.0 규모의 내진설계가 돼 있다. 지진 전문가들의 견해를 대략적으로 종합하면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지진은 규모 6.5를 넘어서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7.0 이상의 강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안전설계는 가장 위험한 상황을 가정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원전의 안전 강화가 필요하다.

부산과 울산에 주소를 두고 있는 원전은 모두 8기다. 또 2기의 추가 설치가 진행 중에 있다. 경주에도 6기가 설치돼 있다. 모두 16기의 원전이 울산을 둘러싼 지역에 있는 셈이다. 더구나 이들 원전은 활성단층으로 알려진 양산단층에 자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지진 발생률이 높은 지역에 원전이 세워져 있는 것이다. 지나친 불안감을 조장할 필요는 없다고 하지만 불안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만시지탄이지만 하필 활성단층에 원전을 이처럼 많이 건설한 이유를 되묻지 않을 수 없다.

한수원의 설명대로 원전은 단단한 암반층에 지어졌기 때문에 토사지반에 건설된 건물보다 30~50% 정도 진동을 줄일 수 있으므로 6.5 규모의 지진이 원전 바로 아래에서 발생해도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다고 할 수 있다. 진앙지 지진 규모가 6.5라고 하더라도 진앙지로부터 떨어진 지역으로 전달될 때는 강도가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면 6.5 규모의 내진설계에 대해 과민한 불안감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는데 충분히 동의하면서도 불안감을 완전히 떨칠 수는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지역주민들의 심정이다.

다양한 대책을 통해 이같은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도 정부와 원전의 몫이다. 우선은 양산단층이 활성단층이 확실한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해야 한다. 그 진단에는 4~5년의 시간이 걸린다고 하니, 그에 앞서 지은지 오래된 원전의 내진설계에 대한 재점검을 하고 그 자료를 전 국민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개해야 할 것이다. 원전이든 정부든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고 해서는 안 된다. 대피소 및 대피로에 대한 일제 점검과 정보 공유도 중요하다. 특히 원전은 정보 접근성이 떨어지는 노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농어촌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대피방법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도 필요하다. 후쿠시마에서 보았듯이 지진으로 인해 원전사고가 발생하면 그 피해는 주민들의 생명과 직결된다. 안전의 시작은 위기를 인식하는 데서 비롯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