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 직장·보육·교육문제 해결
가족동반 이주 등 인구유입 늘려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극대화해야

▲ 박순환 한국산업인력공단 기획운영이사

혁신도시는 기존 신도시와 다르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산·학·연·관이 서로 연계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한다. 또한 쾌적하고 살기 좋은 주거환경과 공원 등 녹지공간을 넓게 확보한 친환경 녹색도시로 조성된다. 주요 에너지원도 물, 태양열 등을 이용해 자연자원과 대체에너지를 활용하는 모범도시로 탄생하게 된다.

혁신도시 인구는 2만에서 5만명까지 중저밀도 전원도시로 개발되지만 교육·문화여건은 수도권 못지않다. 이른바 선진국 수준의 교육·문화여건을 두루 갖춘 새로운 차원의 ‘21세기형 도시’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연·스포츠 등의 여가활동을 지원해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하고 특목고와 공영형 혁신학교 등 다양한 학교체제도 도입된다. 도서실, 헬스센터, 보육시설 등 공동생활 공간도 선진국 수준으로 확보된다. 무엇보다 혁신도시는 정보통신과 교통체계 모두 최첨단 디지털로 구축되며 에너지·자원 절약형으로 개발된다.

혁신도시가 마무리되면 공공기관 직원과 가족들은 물론 협력업체와 관련 종사자들도 동반이주를 하게 된다. 인구와 지방세수, 일자리가 늘어 지역경제가 크게 활성화되는 한편 지방민들의 상대적인 박탈감도 대폭 해소될 전망이다.

지난 2월 국토교통부는 혁신도시 이전 대상 115개 공공기관 중 지금까지 100개 기관이 이전을 마쳤으며 혁신도시로 이전한 주민 수, 지방세수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혁신도시 주민 수는 총 10만4046명(2030년 계획 27만명 대비 38%)으로 주민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전북혁신도시로 2만1056명이 늘었고 당초 계획에 비해 부산 혁신도시의 주민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지방세 수입도 7442억원으로 전년대비 2.8배 증가했다.

하지만 혁신도시가 명실상부 지역성장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기 위해선 이전기관과 연계한 산학연 클러스터 활성화를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특히 산업수도 울산 혁신도시의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혁신도시 자체 기능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존 도시와의 연계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또 울산지역의 현안 사업인 동북아 오일허브와 관련한 조사·연구, 인력 양성 등의 기능을 강화하고 기존 도시의 기능과 연계한 발전도 모색해야 한다.

울산시 중구 우정동 일원 298만㎡에 10개 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우정혁신도시 건설이 완료되면 직원 가족과 연관 산업 종사자 등 유입인구는 최대 1만50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입인구를 반영한 소비 지출액 추정치는 795억~1472억원, 지방세수 증대 효과 연간 73억원, 생산유발효과 6511억~8466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3808억~4855억원 등으로 산출되는 등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혁신도시 자체 기능을 강화하는 노력은 인구유입이 관건이다. 가족동반 이주의 가장 큰 장애요인인 배우자 직장과 보육·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이 하루빨리 마련돼야 한다. 여기에 지역대학 육성정책을 연계해 이전 기관들이 요구하는 특성화 인재를 양성하고 관련 분야의 연구를 활성화하는 한편 에너지 관련 교육·연수시설을 설치하는 방안 등도 절실하다.

지난해 7월 문을 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좋은 사례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친환경 ‘에코 십’(Eco Ship)과 정보통신기술(ICT)을 입힌 ‘스마트 십’(Smart Ship), 자동 의료로봇 등 한국형 고부가가치 의료시스템을 창출해 울산의 미래 먹거리를 제공하게 된다.

이제 울산 혁신도시가 21세기형 도시로 변모하기 위해 남은 과제는 하나뿐이다. 혁신도시에 대한 울산시민의 자부심과 산업수도의 저력이 바로 그 토양으로 동북아의 거점 허브로 도약하는 길만 남아 있다.

박순환 한국산업인력공단 기획운영이사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