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의 국내공장 생산 비율이 30%대에서 수년째 하락세를 계속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은 시대적 요청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지만 그만큼 국내 최고 연봉을 자랑하는 사업장의 일자리가 우리나라 청년에게 돌아갈 확률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에 그 심각성이 있다.

현대차에 따르면 국내 공장의 생산비율은 2010년을 기점으로 50% 이하로 내려갔다. 2010년 48.1%, 2011년 46.4%, 2012년 43.3%로 40%대를 유지하다가 2013년 38.8%, 2014년 37.9%, 2015년 37.6%로 낮아졌다. 10월에 접어든 올해도 30%대에 머물 것이란 예상이다. 이처럼 국내 생산 비중이 줄어드는 원인에 대해 현대차는 자세하고 분명한 설명을 내놓지 않는다. 국내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의식할 수밖에 없는데다 노사관계에서 자칫 왜곡된 분쟁을 낳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국민 대부분은 그 이유를 잘 알고 있다. 국내 공장의 생산성이 해외공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음에도 임금은 오히려 더 높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다시말해 강성 노조로 인한 경직된 노사관계이다. 국내 공장의 생산성은 2014년 6월말 기준 HPV(Hour Per Vehicle· 차 한대 생산에 투입되는 시간)가 26.8시간이다. 미국 앨라배마공장은 14.7시간, 체코 노소비체공장 15.3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공장 16.2시간, 브라질 상파울루공장 20시간, 인도 첸나이공장 20.7시간, 터키 이즈미트공장 25시간, 중국 베이징공장 17.7시간이다. 물론 공장 설립 시기에 따라 자동화율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자동화율이 비슷한 미국과 체코 공장과 비교해도 국내 공장의 생산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내수시장의 판매부진으로 연결된다. 현대차의 지난 7월 내수시장 판매는 전월 대비 31.6%나 감소했다. 내수시장 점유율도 35.2%까지 떨어졌다. 소비자들의 현대차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있다. 현대차의 심각한 고민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회사측은 물론이고 노조도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임이 여실히 드러난다. ‘당장에 내 월급을 많이 받으면 된다’는 식의 노사협상으로는, ‘노조에 대한 견제를 목적으로 해외공장을 확대한다’는 등의 왜곡된 주장을 계속하는 노조로는 소비자의 신뢰회복이 어렵다. 현대차의 미래는 물론이고 청년일자리 창출 등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요한 화두로 삼고 완전히 새로운 노사관계 모색에 나서야 할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