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금할인 4배 더 유리…애플에 단통법 수혜 집중

애플의 아이폰7 구매자 10명중 7명은 단말 지원금보다 20%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단말 지원금은 제조사와 통신사가 공동 부담하지만 아이폰7의 지원금은 애플이 분담하지 않아 금액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때문에 통신사들은 매출에 큰 타격을 입지만 애플에는 수혜가 집중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3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국내 출시된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 개통 고객의 70∼80%는 지원금 대신 20% 요금할인을 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7 시리즈는 현재까지 예약판매가 30만대를 넘고 10만대 이상이 개통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다수 소비자가 요금할인을 택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어떤 가격의 요금제에서도 요금할인이 지원금보다 4배가량 많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의 5만원대 데이터 요금제를 기준으로 하면 총 지원금은 추가 지원금(15%)을 합해 7만원이지만 24개월 동안 20% 요금할인을 받으면 27만원을 아낄 수 있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위약금을 부담스러워 하는 일부 고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요금할인을 택한다”며 “요금 할인액이 워낙 크다보니 고객 입장에서는 자연스러운 선택”이라고 말했다.

선택약정으로 불리는 요금할인은 약정 기간 통신비를 할인받는 제도로, 2014년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에 포함됐다. 지난해 4월 할인율이 12%에서 20%로 올라가면서 가입자가 급증해 지난달초 1천만 명을 넘어섰다.

일반적으로 요금제와 단말 가격이 비쌀수록 지원금보다 요금할인이 유리하다. 100만원대에 육박한 갤럭시노트7 역시 요금할인액이 지원금보다 1.5∼2배 많아 가입 고객의 70% 이상이 요금할인을 택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이폰7 시리즈는 대부분의 모델이 100만원을 훌쩍 넘지만, 공시지원금은 3만∼12만원으로 갤럭시노트7과 V20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다보니 요금할인과 지원금의 차이가 4배까지 벌어졌다.

애플은 전작 아이폰6s 출시 당시 지원금도 최고 13만원대에 불과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통신사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요금할인 고객이 많을수록 매출에 부담되기 때문이다. 요금할인 가입자 비중이 가장 큰 SK텔레콤은 지난 2분기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이 유일하게 감소했다.

요금할인 가입자의 증가는 단통법 개정 움직임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국회에 발의된 개정안은 모두 4개로 ▲현행 33만원인 단말기 지원금 상한제 폐지 ▲제조사의 장려금과 이통사의 지원금을 별개로 공시하는 분리공시 도입 ▲요금할인율 30%로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요금할인율 확대는 아이폰7 출시로 이동통신사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 이동통신사들은 애초 수익성 악화를 들어 요금할인율 인상에 난색을 표해왔지만, 요금할인의 수혜가 아이폰으로 집중되는 현 상황에서 반대 논리가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

반면 지원금 상한제 폐지 주장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이폰7 출시 이후 일선 영업 현장에서 불법 보조금(페이백)과 고액의 판매수수료(리베이트)가 고개를 들면서 ‘상한제 무용론’이 재차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불법 페이백이 갤럭시노트7 교환을 주저하게 하는 점도 상한제 폐지론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대체폰으로 인기 높은 갤럭시S7 등은 공식 유통점에서 출고가 기준으로 교환되지만, 일부 매장에서 불법 페이백을 받으면 수십만원 싸게 살 수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