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제를 떠받치고 있는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이 26일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적은 위기감을 한층 고조시킨다. 2013년 말부터 시작된 현대중공업의 위기가 여전한데 현대차까지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이 의무화된 2010년 이후 전 분기를 통틀어 가장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울산경제의 앞날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26일 발표된 현대차의 올해 3분기 영업실적을 보면 영업이익이 1조68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에 비해 29.0%나 하락했다. 1년 사이에 영업이익률은 7.2%에서 4.8%로 2.4%P 추락했고 매출액은 23조4296억원에서 22조837억원으로 5.7% 감소했다.

현대중공업은 3분기에 흑자를 내며 3개 분기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나 여전히 ‘불황형 흑자’다. 9분기 연속적자를 냈던 현대중공업은 희망퇴직과 설비감축 등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절감으로 올해 1분기부터 표면적으로는 실적개선에 성공했으나 3분기 매출이 8조원대까지 줄어드는 등 여전히 수주가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저유가와 업황악화가 계속되고 있어 향후 수주 전망도 밝지 않다.

현대중공업과 현대차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새삼 거론할 필요가 없다. 울산지역 고용규모만 보더라도 현대차가 3만여명, 현대중공업이 2만여명이다. 협력업체까지 합치면 13만여명에 이른다. 두 기업의 실적 저조에 따른 영향이 점점 확대될 경우 울산경제는 침체국면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자치단체가 대기업의 경영여건 개선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은 거의 없다고 하더라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 되는 상황임에 틀림없다. 경기회복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저성장시대에 걸맞는 경제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우선은 이들 두 기업의 위기극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사관계 개선을 위한 자치단체의 역할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협력업체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대안마련에도 나서야 한다. 뿐만 아니라 소상공인들에게 미치는 파급력도 분석해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서민경제 추락에 대비하는 선제적 행정도 절실한 시점이다.

더구나 현대차와 현대중공업의 어려움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면 산업고도화와 신성장동력 발굴, 산업구조다각화에도 더욱 속력을 내야 한다. 울산시가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는 사업들이 적지 않지만 뚜렷한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대통령 공약사업마저도 어느 하나 성공적으로 추진되지 않고 있다. 오일허브는 제자리걸음이고 국립박물관과 산재모병원은 예비타당성조사 단계에 머물러 있다. 울산시 뿐 아니라 지역 국회의원들의 역량이 아쉬운 대목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