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30일 ‘경관계획 재정비안’에 대한 공청회를 가졌다. 이날 공청회에서 제시된 안을 보면 2030년까지 ‘다양한 매력이 공존하는 다색도시 울산’으로 만들겠다고 한다. 자연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도시, 역사와 함께 하는 전통도시, 개성 있고 매력적인 도시 등 3대 목표도 설정했다. 도시경관을 중심시가지, 산림, 전원, 산업, 해안 등 5개 권역으로 나누었다. 상징가로축, 녹지축, 풍경가로축, 해안축, 수변축 등 5개 경관축도 제시했다. 체계적으로 도시를 다듬어 나가겠다는 계획이 야심차다.

도시의 경관은 도시의 품격과 직결된다. 서울시는 ‘디자인 도시’를 선언하면서 세련된 도시로 급성장하고 국제적인 도시로서 품격을 높였다. 울산은 공업도시로 급성장하면서 경관에 대한 인식 없이 고밀도 성장을 해온 도시다. 경관을 따질 겨를도 없었다. 신도시를 만들 때도 경제적 관점에서만 도시계획을 시행해왔다.

울산시에 경관계획이 없진 않았다. 2025년을 목표로 세웠던 경관계획이 있다. 그런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2030년으로 목표연도를 5년을 더 늘려잡고 재정비 계획안을 만든 것이다. 문제는 계획안 수립이 아니라 실행이다. 경관권역별로 나누어 순서를 정하든지 경관구역안에서 각각 최우선 과제를 정해서 차례차례 실행을 해나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또 이같은 계획은 기초단체와의 긴밀한 공유를 통해 각 기초단체가 추진하는 가로정비와 재건축, 재개발 등에도 반영될 수 있게 해야 한다.

도시경관 정비안이 아무리 잘 만들져도 실행하는 사람이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수용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또한 경관의 좋고 나쁨에 대한 평가는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높은 안목을 가진 전문가의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울산시는 물론이고 기초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는 경관심의위원회의 활동이 더욱 확장돼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 획일적 잣대를 만들어 무조건적인 규제를 해서는 안 된다. 시민들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과도한 규제가 도시의 경관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은 아니다.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만큼 설득력 있는 원칙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