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탄핵소추를 지켜본 울산시민들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여론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미 80%가 넘는 국민들이 탄핵 가결을 찬성했다. 대통령의 지지율은 5% 이하로 떨어진지 오래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과와 상관없이 박근혜 대통령의 대통령으로서의 역할은 끝났다고 볼 수밖에 없다. 때문에 헌재의 결정과 상관없이 정치권은 정국수습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새누리당이 대세였던 울산의 정치인들은 각자도생의 길로 들어설 전망이다. 그동안 울산지역 정치인, 특히 기관단체장들은 제각각 생각이나 목표가 다르긴 해도 대부분 새누리당이라는 소속감으로 한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 지역정치는 혼란의 길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 친박과 비박이 비슷한 규모로 양분돼 있는만큼 수습국면으로 접어들기가 쉽지 않다. 탄핵과정에서 친박을 고수했던 정갑윤·박맹우·이채익 의원은 중앙당의 분당이나 친박의 탈당 등에 따라 새로운 선택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고 탄핵에 찬성했던 강길부 의원이나 비박으로 알려져 있는 김기현 울산시장이 대통령 탄핵의 책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김 시장은 탄핵이 결정된 지난 9일 “남은 절차는 헌법과 법률에 맡기고 정치권은 국민의 지상명령에 따라 무너진 시스템을 복원하고 리더십을 재정립하는데 분골쇄신해야 한다”고 밝혔다. 탄핵정국에 국정에 마비되어서는 안된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 시민은 없다. 다만 정치인들이 촛불 민심 속에 들어 있는 국민의 준엄한 명령과 시대적 요구를 제대로 읽어야만 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탄핵소추안 가결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은 이제 정치권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보수 정치권의 새로운 변화와 야당의 책임 있는 정치에 대한 평가가 점점 냉정해 질 것이 틀림없다. 특히 울산지역의 민의는 보수 정치권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열된 보수의 틈새를 공략하며 새롭게 출범한 늘푸른한국당이 얼마나 지분을 확보할 지도 관심이다. 2개 지역구를 장악한 진보 정치인의 조직화도 울산 정치지형의 새로운 물결로 꿈틀거리고 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 이합집산이 가속되겠으나 분명한 것은 정파적인 이해관계에 휘둘리는 정치는 이제 종말을 고해야 한다. 시민들은 정치인들이 얼마나 통렬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 정치로 변화해나갈지 두 눈을 부릅뜨고 지켜볼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