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조류인플루엔자(AI)로 심각한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달 16일 전남과 충북에서 시작된 AI는 8개 시도 27개 시군으로 확산됐다. 정부는 위기경보를 사상 처음으로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했다. 올해는 H5N6형으로, 2014~2015년의 H5N8형보다 전례 없이 감염 속도가 빠른데 비해 정부의 대응이 늦어져 확산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이미 살처분 규모가 1467만9000마리(18일 기준)로 집계됐다. 역대 최악의 AI 피해로 꼽혔던 2014년(195일 동안 1396만마리) 규모를 넘어섰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현재까지 직간접기회손실을 합친 경제적 손실이 4233억여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아직은 AI청정지역으로 분류되는 울산도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나 다름없다. 한달만인 지난 15~16일 울산 인근의 부산 기장군과 경북 경산시에서 토종닭 사육농장과 큰고니 사체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됐다. 이에따라 울산시의 대응도 긴밀해지고 있다. 서울산IC 한곳에 운영하던 이동통제초소를 울산으로 진입하는 국도와 가금농가가 많은 지역 등 7곳으로 확대했다. 방제단이 예찰활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러나 울산시의 이같은 대응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확산일로에 있는 AI를 방어하기는 쉽지 않다. 더구나 까마귀를 비롯한 겨울철새가 10여만마리나 찾아 들고 있어 방제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우선 가금류 관련 시설과 차량에 대한 일제 소독, AI 발생 지역 차량의 가금농가 진입 금지 등 적극적 조처해야 할 것이다.

AI는 올 한해의 문제가 아닌만큼 국가적 대책을 새롭게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 수의직 구축, 조기경보 체계 재정립, 여름부터 농장검사, 방역원칙 절대준수, 새로운 전략의 방역방법에 대한 R&D 구축, AI교육 전국 단위 정기적 실시, 개인감염 차단방안 개발, 야생조류 위치정보 종합관리사이트 구축 등을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울산시는 시차원에서 할 수 있는 대책을 찾아 적극적인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